•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정태상'기자의 전체기사

십이지 (十二支)

십이지 十二支우리는 누구나 태어난 해에 따라 해당하는 띠를 가지고 있다. 태어난 시간도 띠가 있고 혼인할 때도 띠를 골라서 하고 집을 지을 때도 방향을 정해 짓고 죽은 뒤에도 띠로서 시간을 정해 땅으로 묻힌다. 띠는 곧 우주를 다스리는 五行의 신하들이라고 보면 된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2-01-01 16:58

재야의 종

재야의 종또 한해가 저물어 간다. 늘 그렇듯이 다사 다난했던 지난 날들을 역사의 한 페이지에 남기고 간다.나라 안팎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대재앙이 덮쳤는데도, 손바닥만한 나라 안에서는 연일 이념과 사상으로 갈라져 서로 핏대를 올리는 모습을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현실이 안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2-31 12:01

100년 역사의 칠곡 가실성당

100년 역사의 칠곡 가실성당(漆谷 佳室聖堂)가실성당은 1895년에 조선교구의 11번째 본당으로 시작되었다. 말없이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강가에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이 성당에는 "안나의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종이 있다. 그 종에는 라틴어로 이런 글이 새겨져 있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30 20:54

경주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토함산에서 시작한 대종천이 봉길리 앞바다에 다다르기 전에 왼쪽으로 감은사가 남향으로 서 있다. 멀찍이 바라보면 하얀 돌로 된 석탑이 유난히 우뚝하다. 가까이 다가가면 생각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는 것을 느낀다. 탑 하나가 13평을 깔고 앉았으니 큰 것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3 11:15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

낭산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선덕여왕의 예언대로 낭산 아래에 사천왕사가 세워졌다. 지금은 폐허가 되어 그 규모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심지어 7번 국도가 바짝 치고 들어와서 귀부는 거의 묻힐 지경이고 당간지주는 지나가는 차에 받쳐 깨어지기도 하였다. 그것뿐만 아니라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1 11:34

호국 사찰, 원원사 遠願寺

경주 원원사 遠願寺 서라벌에서 동남쪽 20여리 거리에 관문산성으로 가는 길에 봉서산이 있고 그 산기슭에 원원사가 자리하고 있다. 동해로 상륙한 적들의 길목에 해당하는 곳이다. 한때는 불국사와 원원사 사이에 사찰이 78개나 있어서 마치 통로를 이루는 회랑과도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9 14:40

경주 낭산 황복사

경주 황복사낭산 동쪽에는 傳(전) 皇福寺(황복사)가 있다. 낭산을 뒤로 기대고 앞으로는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멀리 진평왕릉이 보이고 감포로 넘어가는 숲 머리와 보문사지도 보인다. 황복사는 지금 삼층석탑(국보)만 남아있고 절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하지만 그 터는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7 22:41

경주 망덕사 선율 스님

망덕사 선율 스님신라시대 서라벌 망덕사에는 선율(善律)이라는 스님이 있었다.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망덕사지는 대부분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으며, 동서 목탑과 금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6 13:07

문무대왕, 火塟(화장)을 하다.

문무대왕, 火塟을 하다 낭산은 사방으로 명활산, 선도산, 토함산, 소금강산이 감싸고 있는 높이 99.5m의 조그마한 산이다. 신라 실성왕 12년(413) 무렵 부터 神이 살고 있는 神遊林(신유림)이라 불리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다.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절과 왕릉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5 23:30

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天尊庫

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天尊庫682년 5월 17일 신라 신문왕이 동해에서 만파식적을 받아와 월성 천존고에 보관하였다. 693년 3월 11일 갑자기 상서로운 구름이 천존고를 뒤덮더니 그 안에 있던 玄琴과 만파식적이 사라지고 말았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이다.오늘날 경주박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2-14 11:00

문물로 시각을 넓히다

문물로 시각을 넓히다 한반도에서 나오는 여러 유물 가운데 서역 등에서 온 것들이 종종 나타난다. 물론 직접적인 교류가 아닌 중국이나 고구려를 거쳐 들어왔을 수도 있다. 터키석, 청금석 등 이국적인 보석을 끼워 넣은 황남대총의 금팔찌, 독특한 형태와 문양이 있는 계림로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3 11:47

경주 망덕사

경주 망덕사지 (사적 제7호)狼山낭산 앞에 너른 들판 가운데 오늘도 汶川문천이 금빛 모래를 적시며 조용히 흐르고 있다. 거기에 나즈막한 언덕이 있어 望德寺망덕사를 세웠다. 뒤로는 사천왕사에서 대중 공양을 알리는 목탁 소리가 들릴 듯 가까운 곳이고, 앞쪽으로 코가 닿을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1 06:53

왕들의 허리띠

허리띠허리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맞먹는다. 오늘도 허리춤에 차고 있지만 그 중요성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원시인들도 짐승의 가죽이나 풀을 엮어 걸친 것도 끈이 있어야 몸에 지탱할 수가 있다, 호모 사피엔스 보다도 훨씬 전인 네안데르탈인부터 의복을 걸쳤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9 16:14

왕의 행차 길

왕의 행차 길서라벌에서 동쪽으로 80里는 동해이고 서쪽으로 80里는 골화국(영천)이다. 남으로 80里를 가면 울산 개운포가 되고 북쪽 80里에는 포항 영일만이 있다. 그 중 동쪽으로 가는 길은 신라의 왕들이 자주 찾던 길이었다. 신라의 시작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8 11:22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는 말이 있다. 억세게 재수 없을 때 쓰이는 말이다. 그런데 정반대의 현상이 여기에 있다.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은 앞으로 넘어졌는데 코가 반듯이 살아있다. 70톤이나 되는 거대한 바위에 불상을 조각했는데 정면으로 넘어져 있다. 코와 지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7 08:58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