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행차 길

백성의 안녕을 위해 평생을 바친 문무대왕은 죽어서도 그 충정은 식지가 않았다. 그 뜨거웠던 심장을 돌아보고 호국과 애민을 가슴 깊이 되새겨보자.

왕의 행차 길


서라벌에서 동쪽으로 80里는 동해이고 서쪽으로 80里는 골화국(영천)이다. 남으로 80里를 가면 울산 개운포가 되고 북쪽 80里에는 포항 영일만이 있다.

그 중 동쪽으로 가는 길은 신라의 왕들이 자주 찾던 길이었다. 신라의 시작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감포와 경주, 장기와 경주를 이어주던 길이다. 또한 사람과 문화를 이어주던 곳이지만, 왜구가 침략하던 주된 통로이기도 하다. 탈해가 서라벌에 처음으로 들어가던 길이며 문무대왕의 장례 행차 길이었다. 신문왕이 신라의 보배인 옥대와 만파식적을 얻기 위해 행차했던 길이다.


수렛재

세수방

모차골

불령봉표

용연폭포


황룡골에서 힘들게 오르다 보면 지치기 일보 직전에 눈앞에는 시원하고 푸른 동해가 펼쳐진다. 여기에서 바라보는 바다는 특별하다 해서 동네 이름도 觀海洞(관해동)으로 부른다. 그것을 경상도 억양으로 가내동으로 변질이 되어서 내려왔다. 가내고개를 한자로 바꾸어 쓰면서 가래나무 楸(추)와 고개 嶺(령)을 붙여서 처음 뜻과는 전혀 다른 추령이 되고 말았다. 이곳으로 일제시대에 4번 국도가 개설되고 1998년에는 그 밑으로 터널이 뚫여 지금은 고개를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드물다.

추령이 동경잡기에는 동쪽으로 30리에 있다 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동쪽 25리에있다고 한다. 해동 지도에는 경주에서 동해로 연결하는 도로가 추령보다 조금 북쪽으로 돌아가는 고개라고 하였다.

이 고개를 넘어서는 대종천의 발원지가 된다. 길은 비록 험하고 구불구불하지만 마차가 지나다녔다고 해서 모차골이라고 부른다. 모차골을 지나면 수렛재에서 또한번 동해가 훤히 내려다 보인다.

시원한 산바람으로 땀을 식히고 가다보면 신문왕이 긴 여정에 잠시 쉬면서 손을 씻었던 곳인 세수방이 나온다. 맑은 물이 고여있고 주위에는 고로쇠 나무가 밀집해 있어 가을이면 다시 찾고 싶은 곳이다. 떨어진 단풍을 밟으며 계속 가면 불령봉표가 길옆에 서 있다. 연경의 묘에 쓸 향탄 즉 목탄을 생산하기 위한 산이므로 나무를 베지 못하도록 임금의 명을 받아 불령에 봉표를 세운다고 적혀있다.

조선 23대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의 묘(연경)에 사용할 제수 경비를 마련하고자 했던 기록이다. 조선 후기 어지러운 정세 속에 부정부패를 개혁하고자 했던 효명세자의 슬픈 운명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기림사를 조금 못미처 요란한 폭포 소리가 들린다. 옥대장식이 용으로 변하여 승천하던 용연폭포이다.

신문왕이 동해바다에서 얻은 만파식적과 검은 옥대룰 가지고 궁으로 되돌아가던 길에 마중 나온 어린 태자 (효소왕)가 예지를 발휘하여 옥대의 장식 하나를 떼어 계곡물에 담그니, 진짜 용으로 변해 승천하고 시냇가는 깊이 파여 연못과 폭포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가장 웅장한 크기를 자랑한다.


왕의 행차 길에는 왕과 용, 그리고 광명과 피리가 얽혀져 있다. 이처럼 용이 왕이 되고 왕이 용이 되어 광명으로 나라를 밝히던 길이었다. 안팎으로 혼란스럽던 나라를 통합하고 백성의 안녕을 위해 평생을 바친 문무대왕은 죽어서도 그 충정은 식지가 않았다. 그 뜨거웠던 심장을 돌아보고 호국과 애민을 가슴 깊이 되새겨보자. 정태상ⓒ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태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