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컬럼

컬럼

복 받는 추석(秋夕) 되세요

추석(秋夕)한가위, 가배, 嘉俳, 가배일, 嘉俳日, 중추, 中秋, 중추절, 仲秋節, 중추가절, 仲秋佳節 이라고도 한다. 이때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을 할 수 있는 계절이 되었고 1년 중 가장 큰 만월 날을 맞이

컬럼 유시문 기자 2022-09-09 11:44

광복77주년에 즈음하여

광복을 맞은 지 77주년인 2022년이다.115년 만의 기록적 폭우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엄청나, 곳곳이 난리다.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길 간절히 바란다.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의 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우리 주권을 일본에 송

컬럼 유시문 기자 2022-08-13 13:37

재야의 종

재야의 종또 한해가 저물어 간다. 늘 그렇듯이 다사 다난했던 지난 날들을 역사의 한 페이지에 남기고 간다.나라 안팎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대재앙이 덮쳤는데도, 손바닥만한 나라 안에서는 연일 이념과 사상으로 갈라져 서로 핏대를 올리는 모습을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현실이 안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2-31 12:01

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天尊庫

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天尊庫682년 5월 17일 신라 신문왕이 동해에서 만파식적을 받아와 월성 천존고에 보관하였다. 693년 3월 11일 갑자기 상서로운 구름이 천존고를 뒤덮더니 그 안에 있던 玄琴과 만파식적이 사라지고 말았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이다.오늘날 경주박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2-14 11:00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해야 하나?

문화재의 지정번호가 드디어 사라졌다.각종 수험생들이 국보 1, 2, 3호를 외우던 시대는 지나갔다. 1934년 일제강점기에 주요 문화재를 관리 하기 위해서 번호를 매겼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차곡차곡 쌓아 놓아서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어 편리하게 이용을 하고 있다. 마치 책장을 한 장씩 넘기듯이 우리의 문화재가 이런 것이 있었구나하고 이해를 하고, 뒷번호를 보면서 최근에 발굴이 되어서 찾아냈구나하고 알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일련번호를 일제가 지정해서 만들었다고 없앤다니 다소 당황스럽다.&n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1-28 20:45

할로윈데이

할로윈데이 유엔데이는 이미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단오와 백중은 언제부터인가 시들해져서 쉽게 넘어간다. 반면에 할로윈데이, 발렌타이데이, 빼빼로데이는 날이 갈수록 인기가 더해 가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는 농경사회를 위주로 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절기에 맞게 적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1-02 21:31

으악새는 슬피 울고

이 땅에 태어나 자란 억새는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핑크뮬리에 밀려나 천대받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가. 억새는 오늘도 스산한 바람에 허리를 굽히며 구슬프게 울고 있는 듯 하다. 오늘날과 같은 현상을 보고 자라는 어린 세대들에게는 핑크뮬리가 마음 속에까지 심어지고 있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0-22 08:55

추억 속으로

추억 속으로오징어 게임! 무엇이 그토록 열광의 도가니로 빠져들게 하는 것일까. 지금 우리는 더 나아가 온 지구촌이 오징어 게임에 몰려들고 있다. 어느 일부분이 아니라 인류 그 자체가 갈라파고스 신드롬이 되어 가고 있는 기분이다. 무궁화꽃이 피었던 어린 시절 그 나무 그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0-13 18:19

오륜의 바른 풀이

오륜의 바른 풀이오륜(五倫)의 뜻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하는 다섯 가지의 윤리를 유교적 관점에서 가르치 것이다.유교의 덕목은 수평관계에서 항상 윗사람이 모범적이고 솔선수범 실천 하는 것부터 출발한다. 1. 君臣有義(군신유의): 임금과 신하 간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천

컬럼 유시문 기자 2021-09-22 11:35

올레길 둘레길이 무엇이길래

올레길 둘레길이 무엇이길래, 우리나라는 아기자기한 멋도 있지만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고 불릴만큼 아름다운 곳이었다.  산이 그리 높지 않아도 따뜻한 기운이 흐르는 곳에 터를 잡고 자연에 기대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간다.  강이 황하처럼 거대하지 않아도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8-04 16:44

돌을 일으켜 세우다

당간지주(幢竿支柱), 돌을 일으켜 세우다 사찰 부근에 우뚝 서있는 당간지주(幢竿支柱)는 쉽게 눈길이 가지 않는 곳이다. 당간은 그 규모나 모양은 약간 다르지만 전체적인 외관이 솟대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신성한 구역을 나타내는 솟대와 같이 사찰의 경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7-25 10:04

불국사 다보탑은 과연 몇 층일까

다보탑은 과연 몇 층일까? 삼국시대 탑은 고구려는 7층, 9층 백제는 5층, 9층 신라는 9층탑이 조성되다가 삼국 통일 이후로는 주로 3층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680년에 번역된 "조탑공덕경(불탑을 조성하는 공덕)"에는 탑은 대천세계를 연이은 것이며 삼계를 덮고 높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7-21 21:16

순창 채계산 출렁다리

순창 채계산 출렁다리전라북도 순창군은 노령산맥 주능선의 동쪽으로부터 섬진강 건너 남원군과의 사이에 있다. 그래서 험준한 산지와 섬진강 지류 주변에 발달한 분지가 대조되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갈재에서 발원하는 양지천과 산성산(573m), 광덕산(584m)에서 발원하는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7-16 09:00

경주 석굴암 삼층석탑(慶州石窟庵三層石塔)

정태상의 칼럼경주 석굴암 삼층석탑(慶州石窟庵三層石塔)사찰에 가면 당연히 마주 하는 것이 탑이다. 그런 탑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매력에 흠뻑 빠져든다. 우리가 흔히 보게 되는 것은 삼층석탑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석탑이 세워졌고 중국은 전탑, 일본은 목탑이 주류를 이룬다.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7-12 09:06

소화야 우지마라

소화야 우지마라시골길 담장을 보면 고향을 떠올리게 한다. 비좁고 구불구불 하지만 마음을 매만져 주고 아늑하게 감싸주는 길이다. 때로는 거칠고 투박하게 쌓아 올렸지만 어쩐지 기대어 쉬고 싶어진다. 그곳은 바로 마음의 고향일 뿐 아니라 해가 지고 돌아가 날개를 접어야 할

컬럼 정태상 기자 2021-07-01 10:50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