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8월 24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역사속의 미인도

 남성 마음 홀리는 미인도▲ 신윤복 미인도. 114×45.2cm. 간송미술관 소장 ​​ "달걀형의 가름한 얼굴, 작고 섬세한 이목구비, 가늘고 긴 목, 좁은 어깨…." ​ 혜원(惠園) 신윤복의 '미인도'(간송미술관 소장)는 조선 후기 미인도 중 최고 명작으로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3 12:21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

조선왕실 숨겨진 추문들조선이란 사회는 성리학이 지배한 사회이다. 성리학은 학문 이상으로 그 시대 이데올로기였다. 그렇게 엄격한 자기 절제가 필요했던 시대 성(性)이란 과연 어떤 식으로 접근되어졌을까?그런데 조선왕조실록에 의외로 간통 사건이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2-03 12:18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대외교역에 쓰인 고대 한반도의 문구(文具) 한반도에서 살아가던 고대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시각을 어떻게 공유했을까?  완전하진 않지만 그들에게도 의사소통의 수단이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문자’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문자’의 역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9:51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

안중근의사 순국 110주년 기념의 해인 2020년 장흥 해동사(長興 海東祠)해동사는 안중근의사의 위패를 모신 전국 유일의 사당이다.장흥 '해동사' 방문의 해로 지정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91호해동사(海東祠)는 안중근의사(1879.9.2~1910.3.26)를 배향하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7:49

조선시대 신분 계급적 표현 묘비석이야기

묘비석이야기(조선시대 신분 계급적 표현)무덤의 품계-별감, 통정대부, 가선대부, 훈장 등 비석은 신분 품계에 따라 크기나 모양이 다르다.특히 비석에 새겨진 품계는 신분 질서의 계급적 표현이기 때문에 당대의 시대상을 알 수 있다. 동자석이 새워진 비석의 주요 용어와 품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30 11:22

대동문화재단 조상을 대표 '세종문화상' 수상

대동문화재단 조상을 대표 세종문화상' 수상상금 3천만원 전통문화 맥 잇는 꿈나무육성에 기부“25년 동안 전통문화잡지 〈대동문화> 발간, <대동전통문화대상> 제정과 수여, 1천2백회가 넘는 역사인문강좌, 2천여회의 문화유산답사, 문화재돌봄과 문화재지킴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8 21:36

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난파선에서 발견된 뼈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2008년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 태안선 (고려시대 선박)의 수중발굴조사가 한창이었다. 조사가 끝나갈 무렵 바닷속에서 발굴 중이었던 당시 노경정 조사원(現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39

근대와 현대, 남과 북 그림 속에서 그 차이를 보다

근대와 현대, 남과 북 그림 속에서 그 차이를 보다김용준의 춤은 구성이 아주 단순하다. 여승의 춤사위와 그것이 음악의 선율에 따라 움직이는 것임을 암시하는 북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하지만 이작품에 관한 문제들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근대와 현대 수국과 채색, 남한과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21

애기애기한 부처와 두 보살 셋이 모여 보물이 되다

애기애기한 부처와 두 보살 셋이 모여 보물이 되다어린 화랑을 미륵의 화신으로 여긴 신라인들의 정신세계 엿보여 01.보물 제2071호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문화재청이 보물은 의좌상(의자에 앉은 자세)을 취한 본존 미륵불과 입상의 좌우 협시보살 등 총 3구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21:15

환관이 덕을 베풀었다는 인덕원옛길

환관이 덕을 베풀었다는 인덕원엣길지금의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인덕원은 조선시대에 여행자들에게 숙박을 제공하던 원이 있던 곳이다. 숙박업소가 있었을 만큼 인덕원은 주변 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잘 발달해 있었다. 특히 인덕원은 남쪽의 수원과 북쪽의 과천 및 한양으로 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09:34

밥알이 동동 동동주, 화성 부의주 浮蟻酒

밥알이 동동 동동주, 화성 부의주 浮蟻酒경기도 화성시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빚어온 찹쌀로 만든 술. 고려시대부터 빚어온 것으로 알려진 부의주는 술 위에 떠 있는 밥알의 모습이 개미가 물 위에 떠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동동주로 널리 알려진 경기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7 09:17

최고인기 벼슬 능참봉

최고인기 벼슬 능참봉 조선 왕릉은 세계적으로도 유래 없는 단일왕조 왕가의 무덤 모두가 온전하게 남은데다 유교철학과 풍수사상이 담긴 탁월한 조형미를 인정받아 40기 모두 세계유산이 됐다. 이렇듯 조선왕조 500년 세월동안 왕릉을 지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과연 무엇이었을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3 21:57

정조의 효심이 어린 곳, 독산성

정조의 효심이 어린 곳, 독산성독산성과 세마대경기도 오산시 지곶동에 있는 사적 제140호로 백제시대의 산성이다. 현재 세마대지와 함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본성의 총 연장은 1,100m이며 내성은 350m이 달하는 아담한 산성이다. 백제시대의 산성이지만 통일신라와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23 16:52

‘왕가의 길’ 탐방코스

‘왕가의 길’ 탐방코스문화유산 방문캠페인.‘왕가의 길’, 서울, 광주, 수원, 화성, 김포, 강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서울. 조선시대 이후로 현재까지 수도로 존재해 온 이곳은 우리나라의 역사가 압축된 곳으로, 근현대 역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궁궐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7:30

잘 씻는 삶에 관하여

잘 씻는 삶에 관하여한동안 화장실 다녀오면 손을 씻네 마네로 논란이 일었던 때가 있다. 지금은 아무도 손을 씻는 일에 토를 달지 않는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뭐든 잘 씻는 게 감염병 예방의 첫 단계라는 점에 공감하기 때문이다. 수세기 전, 위생 환경이 좋지 못했을 때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18 16:26

  • 26
  • 27
  • 28
  • 29
  • 30

최신기사

2025-08-22 14:06
사진이야기

충성의 상징 장절공 신숭겸 장군

2025-08-21 09:41
뉴스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2025-08-20 10:54
뉴스

조선왕릉으로 떠나는 가을 여행 「왕릉팔(八)경」

2025-08-19 10:11
뉴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넘나드는 실험적 음악 무대

2025-08-19 10:04
뉴스

가배 한잔, 뮤지컬 한 편! 석조전에서 즐기는 가을밤

인기기사

  • 1

    그 많은 향로는 어디에 쓰였을까?

  • 2

    누에고치가 비단이 되기까지, 명주 짜기

  • 3

    궁궐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 6점의 창덕궁 벽화 최초 일괄 공개

  • 4

    안동 헛제사밥

  • 5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