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 신씨 시조로 초명은 능산(能山)이고, 시호는 장절공(壯節公)이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은 충성과 정의의 상징으로 불리는 고려 태조 왕건의 개국공신 중 한 명이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
평산 신씨 시조로 초명은 능산(能山)이고, 시호는 장절공(壯節公)이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은 충성과 정의의 상징으로 불리는 고려 태조 왕건의 개국공신 중 한 명이다.
태봉국의 장수이자 왕건의 최측근 장수로서 서기 918년 가망없이 타락한 태봉국의 국왕 궁예를 보자 이젠 아예 대놓고 복지겸, 배현경, 홍유와 함께 직접 왕건에게 찾아가 역성혁명을 권유하는 한편 진작부터 내군의 장일과 군부의 환선길 등을 포섭하며 종간과 은부 등의 눈을 속여 반란을 준비하였고, 결국 왕건과 함께 역성혁명을 일으켜 태봉국의 국왕 궁예를 몰아내어 태봉국을 멸망시키고 고려를 건국한다. 왕건과 함께 고려를 건국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려의 1등 개국공신이 된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 초상화
장절공 신숭겸 장군 동상 (묘역 입구에 있다)
장군의 묘와 비석
묘로 오르는 길이 아름드리 소나무로 둘러 쌓여있다
묘역 아래로 춘천 시내가 보인다.
홍살문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신도비
고려 태조 10년 서기 927년 대구 팔공산에서 후백제군과 싸울 당시 장군은 그 전투에서 전세가 불리해지자 왕건이 입고 있던 옷으로 갈아입는다. 적으로부터 왕건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왕건으로 위장하여 결국 그 전투에서 전사하고, 그 사이 왕건은 전장에서 무사히 탈출한다. 이후 장군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긴 왕건은 그에게 장절공이라는 시호를 내린다. 장절은 절의가 굳세다는 뜻이 담겨 있다. 왕건은 장군에게 시호만 내려준 게 아니다. 장군이 잠든 묘는 봉분이 3개나 솟아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곳에 혹시 부인이나 다른 가족이 함께 묻힌 게 아닌가 싶지만 그게 아니다. 장군의 묘는 하나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묘다. 봉분이 3개나 된 데는 도벌꾼으로부터 장군의 묘를 지키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라고 이야기가 전해진다. 장군이 전사하자 후백제군은 왕건의 옷을 입고 전사한 장군을 왕건으로 보고 왕건이 사망했다는 증거로 장군의 머리를 베어간다. 그 바람에 장군은 머리가 없는 시신으로 남게 된다. 장군의 시신을 거둔 뒤, 도선 국사가 명당이라며 왕건의 묫자리를 점지해준 이곳 묘역에 장군의 머리를 황금으로 만들어 시신과 함께 안장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머리 크기만 한 금덩어리가 함께 묻혔으니, 자연히 도벌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장군의 묘가 도벌을 당하는 일을 막기 위해 봉분을 여러 개로 만들었다. 이 이야기가 사실인지 전설인지는 구분하기 어렵다. 신숭겸 장군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있는데 모두 깊은 뜻이 담겨 있는 전설이다.
장군의 묘역은 춘천시 서면 방동리에 위치하며, 울창한 소나무 숲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묘역 뒤편에 우뚝 솟은 금룡산은 좌우에 백호산과 청룡산을 거느린 명당으로, 뛰어난 풍수지리적 기운을 자랑한다. 한국 4대 명당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곳이다. 묘역은 낮은 구릉지에 위치하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려다보는 경치가 절경이다. 장군 묘역에는 묘와 함께 그의 충성심을 기리는 사당과 신도비 등 다양한 시설들이 있다. 신도비는 1805년(순조 5)에 후손 신대현(申大顯)과 평산 신씨 후손들에 의해 세워졌으며, 2009년 5월 22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신도비에는
비신의 전면 상단에 고려 개국공신 태사 장절 신공 신도비명(高麗 開國功臣 太師 壯節 申公 神道碑銘)이라고 쓴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으며, 비신은 작은 글씨의 행서(行書)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신도비문은 비문의 찬자인 김조순(金祖淳)의 문집 『풍고집(楓皐集)』 권11에 「고려 태사 장절 신공 신도비명」이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신숭겸 신도비는 팔각지붕형 갓석, 비신, 비대석 등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비신의 높이는 228㎝, 정면 폭은 106㎝, 두께는 39㎝이다. 비문은 순조의 부마였던 외손 김조순(金祖淳)이 지었고, 글씨는 당대의 명필이자 후손인 신위(申緯)가 썼으며, 전액(篆額)은 당시 좌의정이었던 서매수(徐邁修)가 썼다.
신도비의 내용은 신숭겸이 세거지를 곡성(谷城)에서 춘천(春川)으로 옮긴 일과, 홍유(洪儒), 배현경(裵玄慶), 복지겸(卜智謙)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 개국 일등공신에 오른 일, 공산(公山) 전투에서 태조를 대신한 죽음과 신숭겸의 충렬(忠烈)에 대한 역대 임금의 추숭 사업 및 사후 정령(精靈)의 현신과 기이한 행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장절공 신숭겸 장군 묘역은 단순한 묘역이 아닌, 장군의 충성심과 정의감을 기리는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는 우리 역사의 중요한 현장이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