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8월 23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대동법'의 김육

'대동법'의 김육본관은 청풍. 자는 백후, 호는 잠곡·회정당. 증조부는 식이며, 아버지는 참봉 흥우이다. 국가재정과 농민생활 안정을 위해 대동법을 건의하는 등 제도개혁을 추진하여 조선 경제 전반과 신분제까지 영향을 미쳤다.경기도 유형문화제 제40호(1970.7.10)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30 09:50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정치가(政治家)이나, 부패한 관리를 적발한 암행어사로 이름이 높다. 영조가 박문수의 죽음에 대한 논평에 잘 나타난다. “나의 마음을 아는 사람은 영성 (박문수)이며 영성의 마음을 아는 사람은 나였다.” “잠잘 때 외에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30 09:07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3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3산에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었던 산막이옛길산에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었던 산막이는 임진왜란 당시 피난민들이 살던 마을이었고, 조선 중기의 학자 노수신이 귀양살이를 했던 곳이다. 속리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달천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조선후기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9 11:45

영화 “神과 함께” 저승을

영화 “神과 함께”  불설수생경을 알아보자이승에 와서 선업을 짓지 못하고 악업만 쌓은 사람은 지옥의 업을 짓고 심판을 받게 된다. 모든 사람은 죽은 뒤에 49일 동안 일곱 번의 재판을 받게 된다. 살인, 나태, 거짓, 불의, 배신, 폭력, 천륜 등 일곱 번의 재판을 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5 11:51

경주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토함산에서 시작한 대종천이 봉길리 앞바다에 다다르기 전에 왼쪽으로 감은사가 남향으로 서 있다. 멀찍이 바라보면 하얀 돌로 된 석탑이 유난히 우뚝하다. 가까이 다가가면 생각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는 것을 느낀다. 탑 하나가 13평을 깔고 앉았으니 큰 것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3 11:15

티벳 탕카 화법으로 그린 다섯 고승의 진영

티벳 탕카 화법으로 그린 다섯 고승임금의 모습을 그리면 御眞(어진)이라 하고, 고승의 모습을 그리면 眞影(진영)이라 한다. 큰 스님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 예술을 진영이라 부른다. 진영이란 이영심진(以影尋眞)의 줄인 말이다. 티벳 화가들이 탕카 방식으로 그린 한국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1 23:27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

낭산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선덕여왕의 예언대로 낭산 아래에 사천왕사가 세워졌다. 지금은 폐허가 되어 그 규모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심지어 7번 국도가 바짝 치고 들어와서 귀부는 거의 묻힐 지경이고 당간지주는 지나가는 차에 받쳐 깨어지기도 하였다. 그것뿐만 아니라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1 11:34

동지팥죽과 지귀(志鬼)의 사랑

동지팥죽의 유래와 지귀(志鬼)의 사랑동지팥죽의 유래와 선덕여왕의 성품을 엿볼 수 있는 설화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신라 선덕여왕 때에 지귀(志鬼)라는 젊은이가 있었는데, 활리역(活里驛) 부근에서 살았다. 하루는 서라벌 거리를 떠돌다가 여왕의 행차를 보았다. 여왕의 모습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0 19:10

승수군(僧水軍) 대장 자운스님

승수군(僧水軍) 대장 자운스님승군대장 서산대사와 사명대사는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승수군 대장 자운스님과 옥형스님은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호남에는 오대 본산이 있다.송광사 가서 계율 자랑하지 말고 대흥사 가면 염불 자랑하지 마라.선암사 가서 문장 자랑하지 말고 백양사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0 13:15

호국 사찰, 원원사 遠願寺

경주 원원사 遠願寺 서라벌에서 동남쪽 20여리 거리에 관문산성으로 가는 길에 봉서산이 있고 그 산기슭에 원원사가 자리하고 있다. 동해로 상륙한 적들의 길목에 해당하는 곳이다. 한때는 불국사와 원원사 사이에 사찰이 78개나 있어서 마치 통로를 이루는 회랑과도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9 14:40

한양 한복판의 거대한 사찰 원각사(圓覺寺)

한양 한복판에 거대한 사찰을 짓고 원각사(圓覺寺)라는 이름을 조선 세조는 왜 지었을까?효령대군은 조선 초기 불교의 수호 신장 역할을 하였다. 한국의 전통 사찰에는 효령대군의 불심과 불사 기록이 많이 전해진다.효령대군이 양주 회암사에서 승려들과 함께 탑돌이를 하며 염불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18 11:47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2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2경상도와 충청도를 잇는 추풍령(秋風嶺) 옛길추풍령은 해발고도가 221m에 불과해 고도가 낮은 고갯길이지만, 죽령, 조령, 이화령과 함께 충청도와 경상도를 잇는 4대 고개였다.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과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을 잇는 우리나라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18 11:15

경주 낭산 황복사

경주 황복사낭산 동쪽에는 傳(전) 皇福寺(황복사)가 있다. 낭산을 뒤로 기대고 앞으로는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멀리 진평왕릉이 보이고 감포로 넘어가는 숲 머리와 보문사지도 보인다. 황복사는 지금 삼층석탑(국보)만 남아있고 절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하지만 그 터는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7 22:41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1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1영남대로에서 가장 험했던 문경 토끼비리 옛길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새재에서 내려오는 조령천(鳥嶺川)과 가은읍에서 흘러가는 영강(穎江)이 만나는 곳에서는 아주 특별한 산길이 있다. 이 산길은 산골짜기의 협곡을 따라 굽이굽이 물이 흐르면서 깎아지른 듯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16 13:47

경주 망덕사 선율 스님

망덕사 선율 스님신라시대 서라벌 망덕사에는 선율(善律)이라는 스님이 있었다.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망덕사지는 대부분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으며, 동서 목탑과 금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16 13:07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5-08-22 14:06
사진이야기

충성의 상징 장절공 신숭겸 장군

2025-08-21 09:41
뉴스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2025-08-20 10:54
뉴스

조선왕릉으로 떠나는 가을 여행 「왕릉팔(八)경」

2025-08-19 10:11
뉴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넘나드는 실험적 음악 무대

2025-08-19 10:04
뉴스

가배 한잔, 뮤지컬 한 편! 석조전에서 즐기는 가을밤

인기기사

  • 1

    그 많은 향로는 어디에 쓰였을까?

  • 2

    누에고치가 비단이 되기까지, 명주 짜기

  • 3

    궁궐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 6점의 창덕궁 벽화 최초 일괄 공개

  • 4

    안동 헛제사밥

  • 5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