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안에 이르는 도피안사도피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흥사(神興寺)의 말사로서 국보 철조비로자나불상과, 보물 삼층석탑을 봉안하고 있는 천년 사찰이다.화개산 도피안사(花開山 到彼岸寺)라는 편액이 높다란 일주문에 걸려있다. 꽃이 핀다는 산 이름인데 이 한겨울에 꽃
철원 승일교 鐵原承日橋이승만 대통령의 승(承)자와 북괴 김일성의 일(日)자를 따서 승일교(承日橋)라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한탄강 협곡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식 콘크리트 다리이다철원군 북방 북한 땅에서 발원한 한탄강(漢灘江)은 철원군 한가운데를 남북 방향으로 지나 포천,
직탕폭포(直湯瀑布)직탕폭포(直湯瀑布)는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태봉대교 상류에 있는 폭포로 높이는 약 3m, 폭은 80여m에 이른다. 일반적인 폭포와 달리 높이에 비하여 폭이 훨씬 넓다. 철원 사람들은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 부르기도 한다.한탄강 본류에 위치한
철원 노동당사(鐵原勞動黨舍)1946년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에 건립된 노동당 철원군지부 건물강원도 철원군은 38선 이북에 있어 1945년 8월 15일 광복과 동시에 소련군이 진주하였고 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공산 정권 치하로 들어갔다. 경원선의 중심역인 철원역의 소
철의 삼각지 평화전망대무려 12번이나 백마고지의 주인은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은 30만발 가까운 포탄을 쏘아댔다. 6ㆍ25 전쟁 영웅인 고 백선엽 장군은 “포탄이 떨어지는 지점이 하얗게 드러났는데, 멀리서 보면 백마 한 마리가 누워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해발
한려해상국립공원 오동도동백꽃이 유명한 섬으로 한국 관광 100선에 들어있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기점이자 종점인, 미항 여수의 얼굴이다. 여수 하면 오동도(梧桐島), 오동도 하면 동백꽃이 연상될 정도로 동백꽃이 유명한 섬으로 한국 관광 100선에 들어있으며, 한려해상
울주(울산) 반구대 암각화우리나라 사람 누구나 잘 알지만 직접 본 사람은 많지 않은 드문 유적이 있다.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巖刻畵바위그림)가 그렇다. 한국사 교과서에 단골로 등장하지만, 이곳 반구대까지 찾아가는 이들은 많지 않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안에 이런 곳
국도 3호선육지 최남단 제일 끝이라고 할 수 있는 남해 금산 아랫동네에 상주 해수욕장과 미조항으로 갈라지는 초전삼거리가 있다. 바로 이곳에 국도 3호선이 시작하는 시점비(始点碑)와 이정표가 있다. 북한의 평안북도 초산까지 가는 도로다.국도 3호선은 시점인 이곳을 출발하
육지 안에 있는 아름다운 섬 마을, 회룡포(回龍浦) 내 것이 아닌 것을 멀리 찾아서 휘돌아 감은 거그 세월이 얼마이더냐물설고 낯설은 어느 하늘 아래 빈 배로 나 서있구나세월아 그 욕심 더 해가는 이 세상이 싫어 싫더라나 이제 그곳으로 돌아 가련다내 마음 받아주는 곳 아
예천 삼강주막(三江酒幕)태백 황지에서 발원한 낙동강, 봉화에서 발원한 내성천, 문경에서 발원한 금천 이 세 강이 합쳐 낙동강의 큰 줄기가 되는데 이름하여 삼강(三江)이다.삼강주막은 삼강 나루에서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아니면 낙방하여 낙향하던 과객들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
1월 8일은 이봉창 의사를 기억하자 왜왕 히로히토(裕仁)의 신성불가침이 1932년 1월 8일 무너졌다. 이봉창 의사가 던진 수류탄은 안타깝게도 왜왕 히로히또를 폭살 시키지 못하였다. 도쿄 사쿠라다몬(櫻田門)에서 이봉창이 던진 수류탄에 물샐틈 없는 왜왕의 경비망이 뚫렸고
명절을 즐기던 삼국시대 사람들고대부족국가에서 농경 제천의식이 시작되는데, 이는 추수감사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명절의 출발은 바로 이러한 농경제천의식에서 비롯한다. 신라 유리왕대에 한가위가 시작되었다고 하고, 백결선생과 관련된 기사에서는 새해가 되었을 때 떡을 해먹었
‘윷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문화재청, 우리 민족 대표 전통 놀이문화 가치 인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윷놀이’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윷놀이’는 양편으로 나뉘어 윷가락 4개를 던져,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 윷판의 모든 말을
선무도의 총본산 골굴사함월산 기슭의 골굴사에는 수십미터 높이의 거대한 응회암에 12개의 석굴이 나 있으며, 암벽 제일 높은 곳에는 돋을새김으로 새긴 보물 제581호인 마애불상이 있다. 여러 개의 동굴로 형성된 골굴사의 석굴사원은 우리나라에서는 이곳이 유일하다. 중국이나
진천 흥무대왕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사적 제414호)鎭川金庾信誕生址─胎室흥무왕 김유신 장군은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13세손이다. 만노군 (萬弩郡, 진천의 옛이름)에서 아버지는 김서현(金舒玄) 장군, 어머니는 갈문왕 입종(立宗)의 손녀 만명(萬明)이며, 진평왕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