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정태상'기자의 전체기사

하늘이 내려준 天賜玉帶

하늘이 내려준 옥대,  天賜玉帶(천사옥대)신라 제26대 임금은 진평대왕이다. 진평왕은 제 24대 진흥왕과 사도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동륜태자의 아들이고 제25대 진지왕의 이복형이다. 동륜태자와 입종의 딸 만호부인이 결혼해서 白淨(진평왕)을 낳았다. 572년 백정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3 22:00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萬波息笛)

이견대(利見臺)와 만파식적(萬波息笛)지난 11월 23일자 호국의 상징 경주 문무대왕릉에 이어 마지막 세번째 유적지가 이견대다.이견대는 사적 제159호이다. 삼국통일을 이룩한 문무왕의 호국정신이 깃들인 해중왕릉 대왕암(大王巖)이 보이는 감은사지(感恩寺址) 앞에 있다. 만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2 10:21

우리나라 탑에 대하여

탑에 대하여불교문화 중에서 불상과 더불어 탑은 많은 것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탑의 역사 또한 불교의 성쇠에 따라 맞물려 왔다. 탑의 어원은 고대 인도어인 범어(梵語 Sanskrit)의 스투파(Stupa)와 빨리어(巴梨語 Pali)의 탑(Thupa)를 한자로 표기한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01 19:22

경주 감은사와 용

감은사와 龍지난 11월 23일자 호국의 상징 경주 문무대왕릉에 이어 두번째 유적지가 감은사다.  어느 날 동해 바다가 넘쳐서 감은사 뜰 앞까지 밀려왔다가 물러났다고 한다. 경덕왕이 고승 法海에게 법력을 보여 달라고 해서 벌어진 일이었다. 법해는 滄海(창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9 11:15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해야 하나?

문화재의 지정번호가 드디어 사라졌다.각종 수험생들이 국보 1, 2, 3호를 외우던 시대는 지나갔다. 1934년 일제강점기에 주요 문화재를 관리 하기 위해서 번호를 매겼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차곡차곡 쌓아 놓아서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어 편리하게 이용을 하고 있다. 마치 책장을 한 장씩 넘기듯이 우리의 문화재가 이런 것이 있었구나하고 이해를 하고, 뒷번호를 보면서 최근에 발굴이 되어서 찾아냈구나하고 알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일련번호를 일제가 지정해서 만들었다고 없앤다니 다소 당황스럽다.&n

컬럼 정태상 기자 2021-11-28 20:45

신라 건국의 산실 경주 표암

경주 표암 서라벌의 북쪽을 지키는 소금강산은 신라의 4대 영산중의 하나이다. 이 산 남쪽 기슭에 표암이 자리하고 있다. 표암이란 박바위 또는 밝은 바위를 뜻하는 것이다. 기원전 117년 진한 땅 표암봉에 알평이 내려와 세상을 밝게 하였다 해서 표암이라 부르게 되었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2 10:53

신라 탈해이사금

신라 탈해이사금 (경주 탈해이사금)소금강산 남쪽 자락 양지바른 곳에는 탈해왕릉(신라 4대 왕)이 있다. 탈해왕릉은 1969년 8월 27일에 사적 제174호로 지정되었으며, 백률사가 있는 소금강산의 남록 낮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왕릉은 20세기 초에 석씨 일족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0 19:52

이차돈의 성은 박이요.

이차돈의 성은 박이요. 신라에 불교가 뿌리내리기까지는 많은 사연이 있다. 신라에 불교가 들어온 것이 삼국사기에는 눌지왕과 비처왕 때라고 하고 해동고승전에는 법흥왕 때 그리고 수이전에는 미추왕 때라고 한다. 그만큼 불교를 수용하기가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7 12:31

경주 소금강산

경주 소금강산 서라벌을 감싸고 있는 사방의 산은 동쪽으로는 명활산이 있고 서쪽에는 선도산, 남쪽에는 금오산, 북쪽에는 소금강산이 있다. 소금강산 앞으로는 알천이 좌에서 우로 흐르는 길지로 굴불사와 백률사, 탈해왕릉이 있다. 신라 오악의 하나로 성스러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5 19:54

울주 천전리 각석

울주 천전리 각석 대곡리 암각화에서 대곡천을 따라 북쪽인 상류로 가면 국보 제 147호로 지정된 천전리 각석이 있다. 반구대 지역에 있었던 반고사라는 절터를 조사하던 중 천전리 각석을 발견하였다. 1970년 12월 24일 동국대학교 박물관 불적조사단은 경주를 출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3 19:42

대곡리 반구대 일원2

대곡리 반구대 일원 반구대 암각화는 대곡천의 남쪽 지류에는 대곡리 암각화가 있고 그 북쪽에는 천전리 암각화가 있다. 이 둘을 묶어서 반구대 암각화라고 부른다. 반구대는 울산에서 내륙 쪽으로 깊숙이 들어온 산속이다.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모양을 한 기암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1 21:06

대곡리 반구대 일원1

대곡천 반구대에서 우리나라는 산천이 수려한데다 사계절이 있어서 더욱 아름다움을 더한다. 봄이면 온갖 꽃들이 앞다투어 피느라고 눈이 부실 정도이고 여름이면 온통 초록색으로 마음에 휴식을 가져다준다. 그러자 가을이 되면 울굿불긋한 옷으로 갈아입고 우리들 곁으로 다가온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0 11:39

금관총 발견 100년

경주 금관총 지금으로부터 꼭 100년전 금관총의 금관이 세상에 드러났다. 1921년 9월 25일 오전 9시무렵, 조선인 아이 서너 명이 모여 열심히 어떤 물건을 찾고 있었는데 파란색 유리구슬 서너 개씩을 손에 들고 있었다. 고분에서 나온 구슬이 아닐까 짐작되어 조사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8 10:15

팔공산 북지장사

팔공산 북지장사를 오르며팔공산은 지금 울긋불긋한 단풍에 물들어 춤을 덩실덩실 추는 것 같다. 북지장사는 큰 도로에서부터 걸음이 시작되지만 비포장길을 한참이나 걸어야 갈 수 있는 곳이다. 왠 만하면 포장하고 야자 매트 깔고 했을 텐데 여기는 아직까진 옛날 그대로이다. 그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8 07:11

팔공산 부인사

팔공산 부인사 부인사의 창건 연대는 정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 다만 선덕여왕 때인 7세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절에서는 오래전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었다. 또한 이 마을에는 3월 보름마다 선덕제를 지내고 있었다. 요즘은 선덕여왕 숭모회의 주관으로 선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5 17:10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