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놀음을 곁눈질하지 말라!노사께서 법상에 올라 양구하다가 대중에게 물으셨다.그대들은 천하의 절색이 미소를 짓고 분내를 풍기며 찾아와 안기면 어찌하려는가. 파계승처럼 여자를 안으려는가, 썩은 고목처럼 모른척 하려는가. 火中生蓮終不壞로다.불 속에서 연꽃이 피니 시들지 않도다.옛날 한 노파가 어떤 선객을 존경하여 정갈하고 조그마한 초막을 지어서 시봉을 했다. 이러기를 20년쯤 지나자 이 선객의 공부는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다. 해행견고(解行堅固)하여 좀처럼 경계에 흔들리지 않았다.어느날 이 노파는 자기
광주트라우마센터는 오는 22일 오후 7시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올해 아홉 번째 ‘치유의 인문학’을 개최한다. 이번 ‘치유의 인문학’은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로 재직 중인 김진혁 교수를 초빙해 ‘지식채널e와 메시지’를 주제로 진행된다. 김 교수
오늘의법문 #본각스님행복 만드는 동력은 어디에 있는가 모든 것에는 마음이 근본이고마음이 그들의 주인이며마음에 의해서 행위는 이루어진다.맑고 깨끗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그에게는 반드시 행복이 그를 따른다.그림자가 그 형체를 따르듯이....『법구경』 금화사
当山は多宝富士大日蓮華山(たほうふじだいにちれんげざん)大石寺と称し、正応3年(1290)10月、宗祖日蓮大聖人(にちれんだいしょうにん)の法嫡(ほうちゃく)・第2祖白蓮阿闍梨(びゃくれんあじゃり)日興上人(にっこうしょうにん)によって開創されました。寺号の大石寺は、大石ヶ原(おおいしがはら)の地名
7월보름 백중절백중(百衆)음력 7월 15일은 백중절(百中節),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 백종일(白踵日), 망혼일(亡魂日), 머슴날 그리고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많은 이름이 붙여진 연유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백중(百中)이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중원(中元)이란 도가(道家)에서 나오는 말로 도교에서는 천상의 선관(仙官)이 일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
악마와 싸워서 이기는 법부처님이 사위성 기원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부처님은 악마와 싸워 이기는 일곱 가지 방법을 수행자들에게 가르쳐주었다. “전륜성왕이 나라를 다스릴 때는 일곱 가지 방법을 쓰면 외적의 침입을 물리칠 수 있다. 첫째는 성을 높이 쌓는 것이다
지혜가 있는 사람은 경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성내는 마음에 머물지 말라 남을 해칠 마음 없으면분노가 얽매지 못하니원한을 오래 품지 말고성내는 마음에도 머물지 마라.비록 화가 치밀더라도 욕하지 말라.남의 흠을 애써 찾아서약점이나 단잠을 들추어내지 말고언제나 스스로를 단속하라.정의로 자기 마음속을 살펴라. - 잡아함경 / 제40권편집부
한국인이 좋아하는 경전구절 1지혜가 있는 사람은 경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사랑이 있는 곳에 걱정 생기고사랑이 있는 곳에 두려움 생기니사랑하거나 좋아하지 않으면무엇을 걱정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랴.사랑때문에 걱정 생기고사랑때문에 두려움 생긴다.사랑하는 사람을 멀리 없애면어지럽지 않으리.사랑하는 사람을 만들지 말고미워하는 사람도 만들지 말라.사랑하는 사람 만나지 못하면 괴롭고사랑을 못 받으면 근심하니그 속에서 근심과 슬픔이 생겨착한 근본을 소멸시킨다. - 법집
현각스님을 지지하는 이유한국불교를 비판한 현각스님의 글에 대한 찬반 양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서산 천장사 주지 허정스님이 "현각스님의 비판이 종단 발전의 논의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침체된 불교를 살리기 위한 대안은 직선제"라는 취지의 글을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스님의 글을 옮겨 싣는다. 편집자주. 현각스님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절집안을 넘어서 세간의 화제가 되고 있다. 현각스님의 충고는 그동안 직선제를 주장하며 ‘승가는 부자여도 스님은 가난해야한다’는 나의 문제의식과 같은 것이기에 동지의식을
현각스님의 ‘한국불교’ 비판…엇갈린 반응- 자현스님 “낮은 곳 경험하지 못한 투정” vs 교계 단체들 “개선의 계기 되어야”한국불교와 조계종에 대한 현각스님의 날선 비판이 세간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다양한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SNS와 댓글 등을 통해 조계종의 자
하버드대 출신 현각스님 한국불교 떠난다한국에서 출가한 미국인 현각 스님이 “기복신앙이 된 한국 불교와 연을 끊겠다”는 뜻을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최근 조계종 권승들의 비불교적인 행태 등 한국불교의 적나라한 모습을 봐 왔기에 더 이상 미련이 없나봅니다. 아래 이유 외
세상에는 세 가지 헛된 가르침이 있으니 ‘사람의 운명은 숙명이며, 신의 뜻이며, 모든 것에는 아무런 원인이 없다’는 것이 그것이다. 《장아함》미련한 자가 있었다. 그는 너무나 어리석어서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다른 부잣집에 가서 3층 누각을
어떤 상인이 장사를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길에 한 스님과 함께 걷게 되었다.적막한 산길을 말동무 삼아 걸으며스님이 말했다이렇게 함께가는 것도 인연이니내 그대에게 꼭 필요한 말을 일러 주리다.지혜의 말이오? 그렇소.참을 수 없을 만큼 화가 날 때는 꼭 이 말을 생각한 후에 행동 하시오대체무슨말입니까?.앞으로 세걸음 걸으며 생각하고뒤로 세걸음 물러나서 생각하라성이 날때는 반드시 이말을 생각 하시오 그러면 큰 화를 면할거요상인은 스님 말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집으로향했다집에 도착했을 때는 밤이 사뭇
산거(山居) / 나옹(懶翁, 1320~1376)화상 바루 하나, 물병 하나, 가느다란 주장자 하나 깊은 산에 홀로 숨어 마음대로 살아가네 광주리 들고 고사리 캐어 뿌리채로 삶나니 누더기로 머리 싸는 것 나는 아직 서툴다 내게는 진공 (眞空) 의 일없는 선정이 있어
국민이 원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 나라국민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나라국민의 의견을 듣고 실천하는 나라농민모두가 자신의 농지를 갖고있는 나라가난하지만 교육과 의료가 무료인 나라신호등이 없는 나라공장이나 오염시설이 존재 하지 않는 나라가진것이 적으면 불행할 거라는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