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왕들과 조선왕의 초상화들이 전해지지 않은 이유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화는 신라 경순왕의 어진이다. 경주 숭혜전에 모셔진 경순왕의 초상은 그 당시의 작품은 아니고 후대에 신상형식으로 제작된 것이다.

우리나라에 고려의 왕들과 조선왕의 어진들이 전해지지 않은 이유

어진(御眞)은 국왕의 초상화를 뜻한다.
진용(眞容), 진(眞), 진영(眞影), 수용(睢容), 성용(聖容), 영자(影子), 영정(影幀), 어용(御容), 왕상(王像), 어영(御影)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 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 추사(追寫), 모사(模寫) 이렇게 3종류로 나누어졌다. 다만 도사와 모사는 1713년 이전에는 모사(模寫)라는 단어로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도사(圖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 모습을 바라보며 그리는 것.
추사(追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리지 못하여 사망 후 그리는 것.
모사(模寫): 왕의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새로운 진전에 봉안시에 기존의 어진을 본떠 그리는 것.

어진은 삼국시대 이후로 꾸준히 그려왔다. 어진은 특히 조선 시대에 많이 그려졌는데, 현재는 거의 다 소실되었다. 어진을 그릴 때에는 궁정 최고 화가 또는 화가들이 모여서 왕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렸는데, 털 하나 하나까지 표현하였다.

삼국유사에 보면 충지라는 이가 석자 크기의 비단에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진영을 봉안하고 조석으로 촛불을 밝혀 지성으로 받들었다. 사흘 만에 진영의 두 눈에서 피눈물이 나와 거의 한 말이 되자 두려워 사당을 불태웠다고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화는 신라 경순왕의 어진이다. 경주 숭혜전에 모셔진 경순왕의 초상은 그 당시의 작품은 아니고 후대에 신상형식으로 제작된 것이다.


                                                                    1904년 승려화가 이진춘이 그린 경순왕 어진



                                        왕씨 족보에 실린 태조 왕건의 그림과 연천 숭모전에 있는 태조 왕건의 어진


고려 시대에는 수도 개성에 경령전을 설치하고 그 안에 5실을 두었다고 한다. 중앙에는 태조 왕건의 어진을 봉안하고 나머지 4실은 새로운 왕이 죽으면 그동안 모셨던 왕들 중 가장 오래된 왕의 진영은 원찰의 영전으로 보냈다. 고려 시대에는 불교를 국교로 받들면서 왕들마다 원찰을 세우고 그곳에 왕과 왕비의 어진을 모시는 진전을 만들고 추선 공덕을 빌었다. 그중에서도 태조 왕건의 어진은 인연 있는 사찰과 고을마다 진전을 세우고 추모행사를 극진히 모셨다. 그런데 그 많은 고려 왕들의 어진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을까?


그 의문이 세종실록을 보면 풀린다. 그 당시 조선 왕실의 도화원에는 고려 태조의 어진 여러 점과 고려왕조 역대 국왕과 후비의 초상화들이 보관되어 있었다. 세종 9년 세종대왕은 명을 내린다. 도화원에 소장되어있는 고려왕과 후비들의 초상화를 모두 불태워 없애라 그리고 태조 왕건의 어진은 태조릉 곁에 묻도록 하라.


참으로 황당한 일이 최고의 성군이라고 하는 세종의 명령으로 일어나며, 왜 고려왕들의 어진을 모두 불태워 버리고 태조 왕건의 어진은 땅에 묻으라 했다. 이처럼 조선 시대에는 고려왕들의 어진은 확인이 되면 불태우거나 땅에 묻어 버린다. 그것은 어진이 단순히 하나의 그림이 아니라 전 왕조를 상징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왕조가 바뀌고 지배 세력이 바뀌어도 궁성과 어진들을 보호했던 것을 보면 세종의 명령은 선뜻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그렇게 정성 들여 그리고 모신 조선왕들의 어진도 모두 불길에 사그라드는 운명을 겪게 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이 한양으로 쳐들어오자 선조는 경복궁을 버리고 피난길에 오른다. 왜군들의 방화로 경복궁이 불타고 조선왕들의 어진을 모신 선원전도 불길에 휩싸이고 그 안에 모셔진 조선 전기 왕들의 초상은 한 줌 재로 변한다. 임진왜란의 영향으로 명나라도 망하고 일본도 도요토미 정권이 무너졌지만 조선 왕조는 계속 이어진다. 조선 후기 왕들의 어진과 그 이전 왕들의 어진 복원도 다시 활발하게 이어진다. 일본은 조선에 식민 통치를 하면서 조선 왕실의 유물 들을 모아 이 왕가 박물관을 만들어 운영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박물관의 효시이다. 그리고 해방이 되고 6.25가 터진다.

유네스코에서 한국에 보관된 중앙아시아 유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하여, 사람들을 파견한다. 이 왕가 박물관의 궁중 유물들과 오타니 콜렉션들이 포장되어 임시수도 부산으로 옮겨진다. 부산 광복동의 약품 보관창고인 관재청에 궁중 유물들과 조선왕들의 어진을 임시 보관한다.


                                                                                               태조 이성계 어진


                                                                                                   영조 어진


                                                                                                    고종 어진


                                                                                                     순종 어진

1954년 12월 1일 피난민들이 저녁밥을 하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다가 불길이 관재청에 옮겨붙었다. 이때의 화재로 조선 왕조의 궁중 유물 3.400여점이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때 가까스로 불길에서 구해 낸 게 영조의 어진이다. 철종의 어진은 절반이 불에 탔다. 태조의 어진은 전주 경기전에 있어 화를 면했다. 조선 27명의 왕 중에 어진이 전해지는 분은 태조, 영조, 고종, 순종의 어진 단 네점 뿐이다. 최고 성군으로 추앙받는 세종대왕의 어진도 전해 지는게 하나도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세종대왕의 어진은 70년대 운보 김기창 화백이 상상력으로 그린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