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지른 물은 도로 담을 수 없다. - 지광응천스님 -

覆水不返(복수불반)
엎지른 물은 도로 담을 수 없다. - 지광응천스님 -

한번 저질러진 일은 돌이킬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주나라를 세운 무왕의 아버지 문왕의 시호를 가진 서백이 어느날 황하의 지류인 위수로 사냥을 나갔다. 피곤에 지쳐 강가를 한가로이 거닐다가 낚시질을 하고 있는 초라한 행색의 한 노인을 만났다. 수인사를 나누고 이것저것 세상사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백은 깜짝 놀라고 만다. 초라하고 늙은 외모와는 달리 식견과 정연한 논리가 범상치 않았던 것이더라.

단순히 세상을 오래 산 늙음이 가질수 있는 지혜 정도가 아니라 깊은 학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경륜이 서백을 놀라게 하고 말았다. 잠깐의 스침으로 끝낼 인연이 아니라고 생각한 서백은 공손하게 엎드리며 물었다.

어르신의 함자는 무슨 자를 쓰십니까?
성은 강(姜)이고 이름은 여상(呂尙)이라 하지요.

말씀하시는 것을 들어보니 제가 스승으로 모셔야 할 분으로 여겨집니다. 부디 많은 것을 배우고 싶습니다.
과한 말씀이오. 이런 촌구석에 틀어박힌 민초(民草)가 뭘 알겠소.

강여상은 사양을 거듭했으나 서백은 끈질기게 그를 설득하여 기어이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고 만다. 강여상은 서백을 만나기 전까지는 끼니가 곤궁했다. 그런 그에게 질려 아내 마씨 마저 친정으로 가버린지 오래 되었다. 미련 둘 것도 없는 강여상은 서백의 집으로 갔고 그의 아들 발의 스승이 되어 가르칩니다. 그 발이 바로 주나라를 세운 무왕이며 강여상은 주나라의 재상이 되어 탁월한 지식과 지도력으로 문왕의 제후에까지 올랐다.

그런 그가 어느 날 가마를 타고 지나가는데 웬 거렁뱅이 노파가 앞을 가로막았다.
바로 강여상을 버리고 떠난 아내 마씨 였다. 남편인 여상이 주나라에서 출세를 해서 제후까지 되었다는 소문을 듣고 천리길을 찾아온 것이다. 마씨는 땅바닥에 엎드려 울며 용서를 빌었다. 강여상은 하인을 시켜 물을 한 그릇 가득 떠오게 했다. 하인이 물을 가져오자 강여상은 마씨의 앞에 그릇을 던져 버립니다.

물은 다 쏟아지고 빈 그릇이 흙바닥에 뒹굴었다. 이 그릇에 도로 물을 담으시오. 그렇게만 된다면 당신을 용서하고 내 집에 데려가겠소.

아니! 그게 말이나 됩니까? 한번 엎지른 물을 어떻게 도로 담습니까? 그것은 불가능 합니다.

마씨의 울부짖는 말에 강 여상은 차갑게 말했다.

맞소. 한번 쏟아진 물은 주워 담을 수 없고 한번 집과 남편을 떠난 여자는 다시 돌아올 수 없소.

마씨는 호화로운 마차에 올라 저 멀리로 가는 남편을 그저 멍하게 바라볼 뿐, 여기서 나오는 사람 강여상은 바로 빈 낚시로 세월을 낚았다는 강태공 입니다.

참된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인간(人間)이 바꿀 수 없는 것은 없습니다. 과거(過去)는 해석(解釋)에 따라 바뀝니다. 미래(未來) 결정(決定)에 따라 바뀝니다. 현재(現在) 지금 행동하기에 따라 바뀝니다.

바꾸지 않기로 고집하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습니다. 목표(目標)를 잃는 것보다. 기준(基準)을 잃는 것이 더 큰 위기입니다. 인생(人生)의 방황은 목표를 잃었기 때문이 아니라 기준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인생의 가치는 더 많은 소유가 아니라 더 깊은 인격(人格)입니다. 인생의 진정한 목적은 무한한 성장이 아니라 끝없는 성숙(成熟)입니다. 인생의 참된 아름다움은 성공이 아니라 성품입니다. 정글을 빠져 나갈때 가끔 큰 나무위에 올라가 방향(方向)을 점검합니다.

쉼은 점검의 시간입니다. 그래서 당신이 쉼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쉼이 당신을 지킵니다.

지병이 건강관리를 잘할수 있는 겸손함의 원천(泉)이라면 결핍(缺乏)은 탁월한 성취를 위한 분발(奮發)의 계기가 됩니다.

아름다움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우리의 눈(目)이 그것을 다 알아보지 못할 뿐입니다.

일상의 습관이 바뀌면 삶이 바뀌고 삶이 바뀌면 나의 역사도 바뀌니 내 마음의 주인은 바로 나임을 느끼는 새로운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