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역사가 흐르는 강, 진주성

진주성

임진왜란 당시 3대 대첩(한산도 대첩, 진주성 대첩, 행주 대첩)의 하나인 진주성 대첩을 이룬 곳이다.

 

 

공북문

 

당시 진주는 군량 보급지인 전라도 지방을 지키는 길목이어서 진주성을 두고 조선과 왜의 다툼이 매우 치열하였다. 곧 조선 선조 25년(1592) 10월에 진주목사 김시민(金時敏, 1554∼1592)과 의병대장 곽재우(郭再祐, 1552∼1617)이 진주성을 지키면서 왜군 2만명을 격퇴하였다. 하지만 다음해 6월에는 왜군 4만 여명이 진주성을 공격하였는데,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1537∼1593)과 경상우병사 최경회(崔慶會, 1532∼1593) 등이 성 안의 모든 주민과 함께 성을 지키려고 하였다가 끝내 죽임을 당하였다.

 

현재 내수문(內水門)·외수문(外水門)·암문·장대(將臺)·포루(砲樓)·촉석루(矗石樓)·서문·내북문(內北門)·함옥헌(涵玉軒)·진남루(鎭南樓)·산성사(山城寺)·창렬사(彰烈祠)·충민사(忠愍祠)·화약고·관덕당(觀德堂)·공신당(拱辰堂)·포정사(布政司)·군기고·중영궁(中營宮) 등이 자리하고 있다.

 

김시민 장군 전공비와 촉석정충단비

 

 

 

 

진주성내의 비석군

 

촉석성(矗石城), 진주읍성이라고도 불린다.  하륜(河崙, 1347∼1416)이 지은 촉석루 기문에 ‘촉석루’라는 글자가 나오므로, 촉석성이 촉석루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고려사(高麗史)』나『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촉석성’이 보이지 않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처음으로 촉석성이 나타나므로, 고려 말에 확장되면서 촉석루를 포함하자 촉석성이라 부른 것으로 보인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성지 촉석산성은 본주성으로 고려 신우 3년(1377)에 토축성을 개석축하였는데, 주위 800보로 3문을 설치하고 촉석성이라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고, 하륜이 지은 진주성 성문기(城門記)에 자신의 어린 시절에 이미 성터가 허물어져 있었다고 한 점과 정사년(1377) 가을에 조정에서 변방 방비를 위하여 여러 도에 관리를 보내어 주현의 성을 수리하면서 옛터에다 흙으로 쌓았지만 오래 견디지 못하고 다시 무너졌다고 한 기록 등으로 보아,  이 성은 고려 말에 이미 흙으로 쌓은 모습으로 있었다가 1377년에 다시 돌로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년 뒤에 왜구의 침입으로 무너지자 우왕 6년(1380)에 다시 쌓아 완공되었다.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800보, 높이가 3길이 넘었으며, 서쪽과 북쪽, 그리고 남쪽에 각각 의정(義正), 지제(智濟), 예화(禮化)라고 이름붙인 성문을 두었고, 문 위에는 모두 문루를 올렸다고 전한다.

 

 

처음의 성벽은 흙으로 쌓은 것으로, 지금의 내성에 해당한다. 성의 북쪽에는 연못 3곳을 파서 연결하여 해자를 둘렀다. 곧『세종실록지리지』에는 “둘레가 26보(2,060보의 오기)이고 성 안에는 못과 우물이 3개씩 있다”고 하였고,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에는 “진주목의 읍성은 신사 10월에 수축하였는데 둘레 4,460척, 높이 15척이며, 군창과 못, 우물이 모두 6개 있다”고 하였다.  그 밖에 문종 원년(1450)에 진주목의 원래 성기 3,000척에 2,000척을 더하였다는 기록과 세조 4년(1458)에 진주성을 쌓는 일을 중지하였다고 한 기록이 있으므로, 진주성은 조선 초에도 계속 고쳐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직전인 선조 24년(1591)에는 영·호남의 읍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았는데,  경상도관찰사 김수(金睟, 1537∼1615)가 옛 성이 좁다고 하면서 동쪽을 넓혀 외성을 두었다.  1593년 이후에는 경상좌도수군절도사 이수일(李守一, 1554∼1632)이 진영을 촉석성으로 옮기고,  김수가 쌓은 성이 너무 넓어 지키기 어렵다고 하면서 성 안에 여러 시설을 두었다.  내성을 쌓고서 대홍문을 설치하였으며,  촉석과 관탕의 두 둔덕을 가로질러 동쪽과 북쪽에 홍문을 설치하였다.  그 밖에 내외문 위에는 모두 문루를  설치하였고, 수문 2개와 대변루 2개를 설치하는 등 큰 공사를 진행하였다.  그 뒤 1607년에는 경상좌도병마절도사 김태허(金太虛)가 내성과 외성에 포루 11곳을 두었으며, 1618년에는 경상도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이 내성의 동문을 고쳐 세우면서 그 옆에 대변루를 건립하였다.

 

 

 

 

 

 

지금의 진주성은 1970년대에 진주성 정화사업을 거쳐 복원 정비된 것이다. 그 뒤에도 발굴이 진행되어 기록에 전하는 내부 시설이 일부 밝혀졌다.  특히 1999년에 진주성 공북문터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공북문 받침돌 아래에서 약 80㎝ 이상되는 판축층이 확인되었고,  그 아래에서는 저습지도 발견되었다.  이것은 호지(湖池)가 4곳이라고 한『여지도서(與地圖書)』의 기록이나「진주성도(晋州城圖)」의 성 안 건물터 배치와 부합되는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진주성은 고려 말 이후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고쳐 쌓았던 축성 방법의 변천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또한 임진왜란의 산 역사를 담고 있는 성으로, 당시의 무기, 화약 등 국방사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갖춘 성으로 알려져 있다.

 

 

촉석루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호. 정면 5칸, 측면 4칸. 남강(南江)의 바위 벼랑 위에 장엄하게 자리잡고 있어 영남(嶺南) 제일의 아름다운 누각이다.

 

 

 

 

 

 

1241년(고종 28)에 창건하여 7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으며, 1365년(공민왕 14)에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진주성의 남장대(南將臺)로서 장원루(壯元樓)라고도 하였다.  전쟁이 일어나면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였고, 평화로운 시절에는 과거를 치르는 고시장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1725년(영조 1) 목사 안극효(安克孝)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중수되었고, 현재의 건물은 6·25전쟁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960년에 재건하였다.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유시문 기자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