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14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만해 한용운 심우장」사적 지정,「이봉창 의사 선서문」등 2건 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냉전 시대의 아픔과 평화의 염원을 담은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와 항일유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기념 23인 필묵」 등 4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또한, 「만해 한용운 심우장」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하고, 「이봉창 의사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9 20:55

서울시, 경계없고 차별없고 단절없는 통합이동서비스 시대 연다

서울시, 경계없고 차별없고 단절없는 통합이동서비스 시대 연다   □ 버스가 언제 올지도 모른채 막연히 정류소에서 기다려야했던 때가, 도착역까지 몇 개 남았나 세어보고 역당 3-4분을 어림잡아 도착시간을 계산하던 때가 벌써 까마득하다. 그런데 앞으로 목적지까지 무엇을 타고 가야할, 어디에서 내려 무엇을 갈아타야지 가장 빠른지 고민하던 기억이 아득해질 전망이다.   □ 지하철, 버스, 승용차가 각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현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데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4-09 20:47

서울시 국내 최초 택시 앱미터기 도입 박차…택시업계 4차 산업혁명 선도

서울시 국내 최초 택시 앱미터기 도입 박차…택시업계 4차 산업혁명 선도   서울시 국내 최초 택시 앱미터기 도입 박차…택시업계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존 기계식미터기 대체, 최신 ICT 기술 접목한 서울형 앱미터기 도입 추진 지하주차장, 터널 등 GPS 음영지역을 감안한 GPS+OBD 하이브리드형 ’19.3.22월 규제샌드박스 신청, ’19.6월부터 7,000대 규모 시범운행 목표 시, 서울형 앱미터기를 기반으로 시민편의를 증진하는 다양한 서비스 개발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4-09 20:45

서울시, 「북촌, 민족문화 방파제」 기농 정세권 선생 기념 전시

서울시, 「북촌, 민족문화 방파제」 기농 정세권 선생 기념 전시   □ 일제강점기 서울(경성). 일본인들이 조선인보다 더 많은 토지를 소유하고, 일본식 집이 늘어가는 현실에 위기의식을 느낀 기농(基農) 정세권은 북촌을 비롯한 서대문과 왕십리 일대에 ‘조선집’이라 불린 근대 한옥을 대량 공급했다. 그는 또한 조선물산장려회가 침체기에 들어섰을 때 회관을 신축해 기증하고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무엇보다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조선어학회에 회관을 지어 기증하고 각종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4-09 20:26

서울시, 장애인·저소득층 1,950명 무료 여행지원…관광향유권 확대

서울시, 장애인·저소득층 1,950명 무료 여행지원…관광향유권 확대   □ 여행하기 좋은 계절을 맞아 나들이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시민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이렇듯 평소 여행할 기회가 부족한 이들의 관광향유권을 확대하고, 보다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원에 나선다.   □ 서울시는 장애인 및 저소득층 등 관광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을 위해 오는 5월부터 10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4-09 20:22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내가 사랑한 아리랑’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내가 사랑한 아리랑’ - 4. 11. 케이비에스(KBS) 홀에서 배우 문소리 진행으로 개최 - &nb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9 20:15

일년에 하루만 문을 여는 봉암사

일 년중 하루만 산문을 열어 불자들의 참배를 허용 한다는 이 곳 봉암사.       조계종8대 종정을 지내신 서암 대종사 16주기 추모법회에 참석하고자 봉암사에 다녀왔다. 서울 개포동에서 출발하여 이곳까지의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7 08:31

우리 국조는 신화, 중국 시조는 역사상 인물

우리 국조는 신화, 중국 시조는 역사상 인물 한국과 중국이 다르게 하고있는 시조관리   몇해 전 중국 후난성 주저우시에 있는 염제릉에서 중국 정부는 난데없는 ‘시조공정(始祖工程)’을 벌렸다. “염제의 정신을 널리 펴서 중화민족의 정신을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6:44

두 개의 불교문화 체험, 보성 대원사와 티벳박물관

두 개의 불교문화 체험, 보성 대원사와 티벳박물관 전남 보성군   티베트 불탑인 수미광명탑과 대원사티벳박물관   봄 향기 가득한 4월, 전남 보성의 고찰 대원사를 찾아가는 길은 눈이 호강하는 길이다. 진입로 5.5km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6 16:21

묘법연화경에 귀명례(歸命禮)하라.

부처님의 자비(慈悲)의 당체가 바로 법화경이다. 일체 중생의 성불의 직도(直道)를 설하심 보다 더한 자비가 또 별도로 있겠는가. 수량품의 자아게는 매자작시의(每自作是意) 이하령중생(以何令衆生) 득입무상혜(得入無上慧) 속성취불신(速成就佛身) 매양 스스로 생각하기를 중생으로 하여금 위없는 지혜를 얻게 하여 부처님 몸을 속히 이루게 할까 하노라. 부처님 세존께서는 이렇게 중생 성불을 매양 간절히 원하고 생각하신다는 게송이다. 이보다 더 큰 자비가 또 어디 있겠는가. 법화경의 진리가 곧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6:11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중생이라 하고 일체의 망상을 떠난 것을 부처라고 합니다. 모든 망상을 떠났으므로 망심이 없는데 이것을 무심(無心)이라고 하고 무념이라고도 합니다. 중생이란 망상 속에서 생활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5:54

미륵신앙의 역사와 특징

미륵신앙의 역사와 특징 새 세상이 와야 한다’, ‘새 부처가 와야 한다’는 미륵신앙의 민중적 요청   불교경전상의 미륵사상   ‘미륵’이라는 명칭은 범어로 마이트레야(Maitreya)인데 한자로 미륵이라고 음역하였고 그 뜻은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4-06 13:57

세종대왕릉 진달래 동산에서 봄의 정취를 느껴보세요

세종대왕릉 진달래 동산에서 봄의 정취를 느껴보세요 - 여주 세종대왕릉 진달래 동산 특별 개방 / 4.2.~14.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소장 류근식)는 2일부터 14일까지 세계문화유산인 세종대왕릉(영릉 英陵, 세종과 소헌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6 11:19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만나는 한국의 세계유산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만나는 한국의 세계유산 - LG전자, 美 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에 세계유산‘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홍보 / 3.27.~4.10.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LG전자(대표이사 조성진)는 문화재지킴이 사업의 하나로 미국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6 11:12

최고(最古) 사리공예품「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지정 예고

최고(最古) 사리공예품「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지정 예고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등 3건은 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577년에 만들어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舍利) 공예품인 보물 제1767호 「부여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4-06 10:55

  • 126
  • 127
  • 128
  • 129
  • 130

최신기사

2025-07-11 14:32
문화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2025-07-11 14:27
뉴스

마을의 숨겨진 자연유산을 찾습니다!

2025-07-11 14:20
뉴스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8.11.) 참가자 모집

2025-07-09 21:31
문화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2025-07-09 21:17
사진이야기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인기기사

  • 1

    130년간 영국 도서관에 잠들어 있던 김옥균 친필 발견

  • 2

    세계유산 등재 10주년 맞은 공주·부여·익산에 ‘백제 문화공연’ 활짝

  • 3

    함께하는 동행 덕수궁 석조전 음악회 개최(6.25.)

  • 4

    50년 미만의 문화자원, 예비문화유산을 찾습니다

  • 5

    고대 문명 발상지 ‘그리스’에서 펼쳐지는 K-무형유산페스티벌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