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바다거북, 제주에서 베트남까지 고향 찾아 삼만리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작년 9월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제주도 중문 해수욕장에서 방류한 어린 푸른바다거북이 베트남 동쪽 해안까지 이동하여 정착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푸른바다거북, 제주에서 베트남까지 고향 찾아 삼만리
- 제주에서 방류된 바다거북, 베트남 해역까지 성공적으로 이동·정착 확인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작년 9월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제주도 중문 해수욕장에서 방류한 어린 푸른바다거북이 베트남 동쪽 해안까지 이동하여 정착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바다거북은 전 세계적으로 연안개발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산란지가 파괴되고 개체수가 줄어들면서 멸종위기 생물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전 세계에 서식하고 있는 바다거북 7종 모두 멸종위기종에 포함되며, ‘멸종위기동식물의 국제무역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포획과 거래가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도 바다거북의 야생 개체수 회복과 종 보전을 위하여 2012년부터 우리 바다에 나타나는 4종의 바다거북*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고, 포획하거나 유통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조난·부상당한 바다거북의 구조·치료활동을 지원하고, 해양생물 서식지외 보전기관 지원사업을 통해 인공 증식한 새끼 바다거북을 자연에 돌려보내고 있다.

*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매부리바다거북, 장수거북

특히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된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와 협력하여 2016년에 국내 최초로 푸른바다거북 인공 증식에 성공하고, 2017년부터 4년간 제주 중문해수욕장에서 바다거북 새끼 총 104마리를 방류했다.


푸른바다거북과 매부리바다거북 새끼(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

푸른바다거북 새끼 자연방류

바다거북 개체인식표와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한 모습



방류 당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바다거북들의 야생 적응력을 확인하기 위해 방류하는 모든 바다거북에 개체 인식표를 부착하고, 15마리에는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이동경로를 관찰해 왔다. 그 결과, 방류 후 일주일 이내에 연안 해역에서 사체로 발견되는 사례는 없었고 자연적응 후 폐사체로 발견된 사례는 2건(1.9%)으로 매우 낮아 방류 거북들이 무리 없이 야생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통해 새끼 푸른바다거북 한 마리가 베트남 동쪽 해안까지 이동하여 정착한 것도 확인되었다. 이 개체는 2017년에 인공 증식되어 지난해 9월 제주 중문해수욕장에서 방류된 3년생으로, 쿠로시오 해류를 역행하여 3,847km를 헤엄쳐 푸른바다거북의 고향으로 알려진 베트남 해안으로 돌아간 것이다.

윤문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태보전실장은 “이번 모니터링 결과는 수족관에서 인공 부화한 바다거북이 우리나라 연안에서 방류되더라도 원래 자신들의 서식지를 향해 이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바다거북의 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바다거북 이동경로 모니터링을 통해 그간 우리가 해양보호생물의 자연 개체 회복을 위해 기울여 온 노력의 성과를 확인했다.”라며, “앞으로도 해양보호생물 증식연구, 방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제사회의 바다거북 보전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인공위성 추적장치가 부착되어 방류된 바다거북들의 이동경로는 해양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MBRIS, https://gis.mbris.kr )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