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지역적 특성

역사와 전통이 풍부한 민족일수록 뿌리 깊은 민요의 가락이 많고, 신화나 설화가 가락화된 경우도 있어 민족의 구심점이 되기도 한다.

민요는 민중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소박한 노래로 겨레의 정서를 대변한다. 역사와 전통이 풍부한 민족일수록 뿌리 깊은 민요의 가락이 많고, 신화나 설화가 가락화된 경우도 있어 민족의 구심점이 되기도 한다.




민요는 지역에 따른 선율의 특성,
즉 토리에 따라 경토리라 일컫는 경기민요, 육자배기라고도 불리는 남도민요, 수심가토리로 대표되는 서도민요, 메나리토리의 동부민요, 제주토리라는 제주민요로 나뉘어진다.


경기민요는 평조가락이 많아 맑고 경쾌하며 음색이 부드러워 서정적이다. 대표적인 민요로는 도라지타령, 태평가, 오봉산타령, 풍년가, 군밤타령, 천안삼거리 등이 있다.


판소리와 산조를 키워낸 남도민요는 음악구조가 단순하고 가락이 서정적인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해 보다 풍부하고 극적인 성격을 지닌다. 또 낮은 소리는 떨어주고, 중간소리는 평으로 내고, 높은 소리는 꺾는 등 목을 쓰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 민요로는 육자배기, 진도아리랑, 까투리타령, 강강술래 등을 들 수 있다.


서도민요는 대륙과 인접한 거친 풍토에서 북방 이민족과 겨루며 굳세게 살아온 관서지방민들의 생활을 면면이 이어온 소리다. 대표적인 민요로는 평안도민요인 수심가, 엮음수심가, 자진배따라기 등과 황해도민요인 산염불, 병신난봉가, 몽금포타령 등이 있다.


동부민요는 지역에 따라 창법과 음계, 꾸밈음에 차이를 보인다. 경상도민요는 빠른 장단이 많이 쓰여 흥겹고 경쾌하며, 강원도민요는 산골의 정취가 어린 소박하고 애수에 찬 노래가 많다. 함경도민요는 오랜 세월 동안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의 정서를 반영하듯 탄식조나 애원조의 구슬픈 노래가 많다.


경상도민요로는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옹헤야라고도 불리는 보리타작소리가 있으며, 강원도민요는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등이 있다. 함경도민요는 어랑타령으로도 불리는 신고산타령 등이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그리고 제주도민요는 다른 지방에 비해 노동요가 많은데 오돌또기, 이야옹타령, 해녀노래라고도 하는 이어도 산아, 이어도 한라 등이 있다.
조선에 다양한 민요가 발전한 것은 우리 겨레가 오랜 세월 동안 음악과 춤을 좋아한 풍류 민족이었고, 다채로운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