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남한 유일의 고려 도성(都城) 강화중성에서 문지 최초 확인

남한 유일의 고려 도성(都城) 강화중성에서 문지 최초 확인-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유튜브에서 발굴조사 성과 온라인 공개 11.4. -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유재은)는 남한 지역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려 시대 도성유적인 강화중성(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소재)에서 문지(門址)를 최초로 확인하였다. * 도성(都城): 한 나라의 수도 또는 그 주위를 에워싼 성곽 * 문지(門址): 문이 있던 자리 * 조사지역: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 산56번지 일원(약400㎡) 강화중성은

뉴스 유시문 기자 2020-11-04 23:12

100세 시대의 건강관리

100세 시대의 건강관리 100세까지 팔팔하게 사는 것, 이제 결코 꿈이 아니며 人間 壽命 120歲를 實證해 보인 사람의 報道도 심심치 않게 접합니다.영국 언론(가디언) 보도 "건강하게 오래 사는 비결" 30항을 소개합니다.1. 마늘을 하루 1~2알정도 섭취하라 하루 5㎖의 마늘을 섭취하면 체내 유해 화학물질을 48%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관절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기억력 감소, 치매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라주 3회 정도 적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1-04 22:56

감기 초기에 퇴치하는 방법

감기 초기에 퇴치하는 방법감기에 걸리면 목구멍이 간질간질하고 머리가 무겁고 몸이 쑤시기 시작한다. 성인은 매년 평균 3차례 감기에 걸려서 매번 9일 정도 앓는다고 한다. 하지만 대책이 있다.‘헬스닷컴’이 감기를 초기에 떨쳐내는 방법을 소개했다.1. 증상이 시작됐을 때 물이나 주스를 마시기 시작하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 목이 아프거나 코가 막히는 증상이 완화된다. 또 소금물 가글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목구멍이 따끔따끔한 증상을 줄이려면 따뜻한 물 한 잔에 티스푼 절반만큼의 소금을 넣어라.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1-04 22:51

젊어지는 건강 습관 12가지

젊어지는 건강 습관 12가지음식은 10번이라도 씹고 삼켜라.의사들이 말하는 것처럼 30번 씩 씹어 넘기려다세 숟가락 넘기기 전에 포기하지 말고,10번이라도 꼭꼭 씹어서 삼킨다.고기를 먹으면 10번이 모자라겠지만 라면을 먹을 때도10번은 씹어야 위에서 자연스럽게 소화시킬 수 있다.매일 조금씩 공부를 한다.두뇌는 정밀한 기계와 같아서 쓰지 않고 내버려두면점점 더 빨리 낡는다.공과금 계산을 꼭 암산으로 한다든가전화번호를 하나씩 외우는 식으로 머리 쓰는 습관을 들인다.일상에서 끝없이 머리를 써야 머리가‘

건강생활 유시문 기자 2020-11-04 22:39

눈물은 내려가고 숟가락은 올라간다

눈물은 내려가고 숟가락은 올라간다우리는 식사 처음부터 끝까지 숟가락을 사용하는 전통을 지녔다. 숟가락을 놓을 수 없었던 이유는 밥과 함께 국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국에다 밥을 말고 물에다가 밥을 말아 먹기도 한다. 아예 젓가락을 쓰지 않아도 되는 국밥 같은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04 22:00

‘소릿길’ 탐방코스

‘소릿길’ 탐방코스‘소릿길’ 탐방코스 문화유산 방문캠페인 ‘소릿길’ 전주, 임실, 남원, 고창, 목포, 진도, 해남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을 체득하는 것은 역사의 생명력을 확인하는 행위이다. 몸짓과 소리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가치를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길이 생긴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04 21:19

성리학 이념을 담은 인성(人性) 교육기관‘한국의 서원

성리학 이념을 담은 인성(人性) 교육기관‘한국의 서원성리학 이념을 담은 인성( 人性) 교육기관‘한국의 서원’한국의 서원은 하나가 아닌 9개 서원이 함께 어우러진 연속 유산으로 이제는 ‘하나를 위한 아홉’이라는 인식을 모두가 가져야 한다. 한국의 서원은 동아시아에서 성리

문화 유시문 기자 2020-11-04 21:14

조선의 일곱 후궁 모신 칠궁(七宮), 온라인으로 답사하기

조선의 일곱 후궁 모신 칠궁(七宮), 온라인으로 답사하기- 칠궁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영상 9일 공개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소장 박관수)는 칠궁 특별답사 프로그램인 ‘표석을 따라 듣는 칠궁이야기’를 온라인 교육 영상으로 제작해

뉴스 유시문 기자 2020-09-08 10:55

국보 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국보 제2호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원각사는 지금의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던 절로,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웠다.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1504년 연산군이 이 절을 ‘연방원(聯芳院)’이라는 이름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0-09-08 10:46

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

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 우리 선조들은 부부간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기록들을 살펴보면 한반도의 부부관은 대체로 남녀의 조화를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나 『고려도경』의 내용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9-07 21:07

신안 보물선 끝나지 않은 도굴 이야기

신안 보물선 끝나지 않은 도굴 이야기신안 보물선 끝나지 않은 도굴 이야기 한국 최초이자 최대의 수중문화재 발굴인 ‘신안선’의 발견과 발굴은 지금으로부터 45년 전인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신안선의 자기 유물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사실 유물 발견신고 20여

컬럼 유시문 기자 2020-09-07 20:43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지정예고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지정예고- 대나무로 유명한 담양의 대나무 군락지로 자연학술가치 모두 뛰어나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태목리에 있는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담양 태목리

뉴스 유시문 기자 2020-09-07 20:27

1,700년 전 가야의 유리 세공 목걸이 3건 보물 지정 예고

1,700년 전 가야의 유리 세공 목걸이 3건 보물 지정 예고- 김해 대성동과 양동리 고분서 출토…‘철의 왕국’가야의 유리 공예 기술 새롭게 조명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두 고분인 김해 대성동 및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김해 대성동 76호

뉴스 유시문 기자 2020-09-07 20:07

전쟁의 상흔이 켜켜이 쌓인 산성들

전쟁의 상흔이 켜켜이 쌓인 산성들전쟁의 상흔이 켜켜이 쌓인 산성들 누구나 전쟁이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인류 역사의 9할은 전쟁이었고 그 나머지 시간 역시 다음 전쟁을 위한 준비 기간이었다. 사람들은 왜 전쟁을 일으켰을까? 그들은 어떻게 전쟁을 하고 어

문화 유시문 기자 2020-09-04 21:40

‘국기에 대한 경례’ 저작권 기증으로 재탄생

‘국기에 대한 경례’ 저작권 기증으로 재탄생- 해군군악대 연주, 배우 김남길 맹세문 낭독 음원 최초 공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임원선, 이하 위원회)와 함께 9월 4일(금) 제3회 지식재산의 날을 맞이해, 고(故) 이

뉴스 유시문 기자 2020-09-04 16:19

  • 86
  • 87
  • 88
  • 89
  • 90

최신기사

2025-07-09 21:31
문화

바람에 담긴 조선의 기상과학과 문화 풍기대

2025-07-09 21:17
사진이야기

다시 빛을 찾은 역사의 돌탑

2025-07-09 20:56
뉴스

단청의 장엄하고 화려한 색채 구현한 ‘석운 홍점석’ 선생 기증전 개최

2025-07-09 20:47
뉴스

초등학생이 직접 전통 한지와 돌담 만들며 문화유산 보존 복원 이해한다

2025-06-29 16:32
뉴스

「영천 청제비」 국보 지정 기념행사 개최 (6.30.)

인기기사

  • 1

    동해안 성주굿 진도씻김굿과 함께 하는 「전통예능의 품격」

  • 2

    한국관광공사, 넷플릭스와 글로벌 한국관광 광고캠페인 나선다

  • 3

    130년간 영국 도서관에 잠들어 있던 김옥균 친필 발견

  • 4

    세계유산 등재 10주년 맞은 공주·부여·익산에 ‘백제 문화공연’ 활짝

  • 5

    50년 미만의 문화자원, 예비문화유산을 찾습니다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