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그림 속 명승에 깃든 시절, 그리고 사람

그림 속 명승에 깃든 시절, 그리고 사람명승은 전근대기 지성사와 문화사를 이해하는 가늠자로 삼기에 충분한 화두이다. 자연과 인위의 상호작용, 명소와 명인의 만남으로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운 명승문화는 실로 방대한 유·무형의 유산을 남겼다. 그중 하나가 명승도(名勝圖)이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3-10-04 13:30

조선시대 유람문화가 탄생시킨 명승

조선시대 유람문화가 탄생시킨 명승명승이라 불리는 공간은 처음부터 명승이 아니었다. 무명(無名)의 공간에 사람이 들고, 사람을 매개로 그곳이 품고 있는 특별한 심미적(審美的) 요소가 세상에 공유되고 각인되면서 명승으로 재탄생한다. 그 가장 큰 동인(動因)은 ‘유람(遊覽)

문화 유시문 기자 2023-10-04 13:18

신안갯벌을 찾는 귀한 손님, 황새

신안갯벌을 찾는 귀한 손님, 황새황새 예로부터 마을의 큰 나무에서 번식하며 사람과 친숙했던 황새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길조(吉鳥)로 통했다. 황새가 번식하는 마을은 부촌이 되거나 황새가 군락을 이루면 큰 벼슬을 할 사람이나 만석꾼이 태어난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였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22 16:00

산릉도로 살펴보는 왕릉의 풍수적 입지

산릉도로 살펴보는 왕릉의 풍수적 입지산릉도는 능을 중심으로 한 주위 산수의 지형지세와 경관 요소를 풍수적으로 묘사한 그림이다. 다른 이름으로 왕릉산도(王陵山圖), 산형도(山形圖)라고도 했다. 조선왕실은 왕릉의 조성, 입지, 배치, 형태, 구성 등에 관련된 주요 사실을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22 15:44

본래 자리에서 만나는 기쁨 보물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본래 자리에서 만나는 기쁨 보물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는 죽은 자가 저승에서 시왕에게 지은죄를 재판받고 지옥에서 고통받으며 삼장보살의 구원을 비는 저승에서의 과정을 모두 담고 있어 명부계 불화의 종합세트라고 할 수 있다.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한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4 20:20

왕실의 국장 추진과 국장 관련 의궤

왕실의 국장 추진과 국장 관련 의궤왕조 국가인 조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례는 왕이나 왕비 등 왕실 인물이 승하한 후에 추진하는 국상(國喪) 관련 의례였다. 왕이나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 하였고, 세자와 세자빈의 장례는 예장(禮葬)이라 하였다. 왕이 승하하면 당일에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4 20:09

박정희 대통령이 3년 동안 하숙했던 문경 주흘산 자락의 청운각

박정희 대통령이 3년 동안 하숙했던 문경 주흘산 자락의 청운각 하숙집과 전시관이 모두 문이 열려있어 구경하기 편하다. 문경 대표 관광지가 된 것이다청운각은 박정희 대통령께서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4월 이곳 청운각 바로 뒤편에 있는 문경 서부심상소학교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2 09:42

1,550년의 기다림 1,350일의 긴 여정쪽샘 44호분 신라 공주묘

1,550년의 기다림 1,350일의 긴 여정쪽샘 44호분 신라 공주묘사적 경주 대릉원 일원은 4~6세기 신라의 왕과 왕족, 귀족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현재까지 1,200여 기가 넘는 무덤이 확인되었고 앞으로 조사를 통해 그 수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대릉원 일원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2 08:39

암반 동굴에 창조된 독특한 외관의 정자 보물 「진안 수선루」

암반 동굴에 창조된 독특한 외관의 정자 보물 「진안 수선루」암반 동굴에 창조된 독특한 외관의 정자 보물 「진안 수선루」「진안 수선루」는 자연 암반으로 형성된 동굴의 틈 사이에 중수된 정자이다. 우애가 돈독하고 학문이 높은 연안송씨(延安宋氏) 4형제 진유, 명유, 철유, 서유가 조상의 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진안 수선루」는 전형적인 누정의 기능과 형태에서 벗어난 외관과 파격적인 건축 형식의 시도로 독특한 아름다움을 창조해냈다. 00.암반 동굴에 창조된 독특한 외관의 정자 보물 「진안 수선루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9-12 08:21

각설이타령覺說理打令의 의미

각설이타령覺說理打令의 의미覺說理(각설리)의 覺(각)은 깨달을 覺(각)이고, 說(설)은 말씀 說(설)이며,理(리)는 이치 理(리)다.이를 굳이 풀이해서 설명하면 깨달음을 전(傳)하는 말로서, 이치(理致)를 깨우쳐 알려준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깨치지 못한 민중(民衆)들에게

기획 유시문 기자 2023-08-15 21:50

천년의 물살을 견뎌온 진천 농다리, 태풍 카눈에 상판 일부 파손

천년의 물살을 견뎌온 진천 농다리, 태풍 카눈에 상판 일부 훼손농다리(진천농교鎭川籠橋)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다.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의 굴티마을 앞 세금천에 놓여 있는 독특한 모습의 다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오래된 사력 암질의 붉은 돌을 쌓아서 만들어진 규모도

뉴스 유시문 기자 2023-08-13 13:20

한민족 축제의 원류 강릉단오제

한민족 축제의 원류 강릉단오제 ‘오, 강릉단오제!’ 6월 달력을 펼쳤더니 붉은 동그라미가 눈에 꽉 찬다. 신년 행사의 첫 삽으로 6월 22일 단옷날 붉은 색연필로 동그라미 몇 개를 그려두었는데, 그날이 바싹 다가온 것이다. 올해 6월 18일부터 25일까지 강릉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6-13 14:48

한반도 세력 생존의 기반 우리 역사 속의 국방과학기술

한반도 세력 생존의 기반 우리 역사 속의 국방과학기술역사 속에서 한반도 세력은 우수한 군사기술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영토 확장에 나서며 동아시아의 중심 세력으로써 불안정한 국제정세를 안정시켰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방과학기술 개발에 소홀히 하였을 때는 동아시아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6-06 07:44

불교 석조문화 불상 6 의성 내산리 석불좌상

의성 내산리 석불좌상義城內山里石佛坐像을 찾아서석불좌상은 안계면 소재지에서 구천면 방면으로 가다가 만나는 네거리에서 단밀 방향으로 가는 길 우측 내동 마을의 가자골 동쪽 기슭 사과 과수원 사이의 소나무 숲속에 모셔져 있다. 석불좌상 바로앞에 미륵약사여래암의 진성 주지스님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5-12 10:16

고려인들의 또 다른 미감 보여주는 보물

고려인들의 또 다른 미감 보여주는 보물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보물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靑磁 獅子形蓋 香爐)」는 사자의 모습을 한 뚜껑과 네 굽이 달린 받침으로 구성된 고려시대 향로이다. 2007~2008년 충청남도 태안군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 선박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5-08 08:56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