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낭떠러지 절벽 위의 사찰 달마산 도솔암

낭떠러지 절벽위의 사찰 달마산 도솔암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화엄조사인 의상대사가 창건한 천년의 기도 도량이다.달마산 미황사의 열두 암자 중 한 곳으로 가장 정상부인 도솔봉에 있다. 달마산(해발 489m)이 남쪽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이유는 기암괴석과 절벽이 병풍처럼 둘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22 09:26

불교 석조문화 석탑 3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軍威 持寶寺 三層石塔)

불교 석조문화 석탑 3군위 지보사 삼층석탑(軍威 持寶寺 三層石塔)경북 군위군 군위읍 동북쪽에 해발 437m의 별로 높지 않은 선방산 산 중턱에 지보사(持寶寺)가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신라 문무왕 13년(673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7 21:50

충무공 이순신 장군 순천의 백의종군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하여 내려온 순천의 백의종군로이순신이 백의종군해서 걸어 내려온 640km의 길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사였던 이순신 장군은 일본 수군이 기습적으로 공격해올 것을 경계하여 신중한 군사작전을 펼쳤다. 이에 1597년 2월 26일에 ‘조정을 속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6 22:05

사찰 입구의 석비 – 하마비(下馬碑)

사찰 입구의 석비 – 하마비(下馬碑)요즘 자주 듣는 단어에 하마평(下馬評)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하마비에서 유래됐다. 궁궐 밖의 하마비 앞에는 궁으로 들어가는 양반들을 말과 함께 기다리는 말잡이들이 모여 있었는데, 그들이 떠드는 대화 과정에서 정보교류가 활발히 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6 21:31

배롱나무와 스테인글라스가 아름다운 칠곡 가실성당

배롱나무와 스테인글라스가 아름다운 칠곡 가실성당칠곡 낙산리 가실마을에 있는 성당으로, 당초 칠곡낙산성당(漆谷洛山聖堂)으로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2006년 2월 칠곡가실성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본당과 사제관 등 2동의 건물로,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5 16:08

충무공 이순신 장군 해남 명량대첩비 (鳴梁大捷碑)

충무공 이순신 장군 해남 명량대첩비 (鳴梁大捷碑)196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597년(선조 31) 9월 이순신이 원균(元均)의 무고로 통제사에서 물러났다가 원균의 패전으로 다시 기용되어 진도 벽파진(碧波津)으로 우수영(右水營)을 옮기고, 해남 전라우수영과 진도 사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5 14:02

불교 석조문화 석불 2 의성안사동석조여래좌상

불교 석조문화 석불 2의성안사동석조여래좌상 義城安寺洞石造如來坐像198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로 지정된 안사석조여래좌상은 전체 높이 157㎝, 불상 높이 76㎝, 어깨너비 76㎝, 무릎 너비 76㎝, 광배 높이 110㎝다. 안사리 안심마을에서 북동쪽 고도산(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5 11:25

이순신을 1등 공신으로 책훈한 선무공신교서

이순신을 1등 공신으로 책훈한 선무공신교서"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라는 명언을 남긴 이순신 장군은 뛰어난 애국정신으로 나라를 지켜내 조선의 명장이다. 장군은 3대 대첩이라 불리는 명량대첩, 한산도대첩, 노량해첩에서 승리하며 왜군으로부터 조선을 지켜내었고 죽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4 14:45

불교 석조문화 석불 1 민중의 모습을 새긴 소고리 마애여래좌상과 마애삼존석불

불교 석조문화 석불 1민중의 모습을 새긴 소고리 마애여래좌상과 마애삼존석불신라의 석불이 장엄하고 정밀하고, 또 신령스러움을 풍기고 있다고 한다면, 고려의 불상들, 특히 석불(石佛)들은 세속적이고, 투박하고, 희화적(戱畵的) 특징을 드러내는 것들이 많다. 이는 고려의 건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2 20:12

타일랜드군 참전기념비 泰國軍參戰記念碑

타일랜드군 참전기념비 泰國軍參戰記念碑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문암리 산24-2번지에 있는 현충 시설로 한국전쟁에 참전한 태국군을 기리기 위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국방부가 태국군의 마지막 주둔지인 이곳에 1974년 10월 1일 세웠다. 부지면적 1만 735㎡,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2 11:10

영종도 용궁사

인천 영종도 백운산 용궁사(龍宮寺 인천 유형문화재 제15호) 영종대교를 건너 15분 정도 가면 백운산 자락에 천 삼백 년 세월을 간직하고 있는 용궁사가 있다. 흥선대원군이 쓴 편액이 걸려있는 용궁사는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산 이름을 백운산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1 22:17

의성석탑리방단형적석탑

의성석탑리방단형적석탑 義城石塔里方壇形積石塔언뜻 보기에는 고구려 적석총, 돌무지 무덤 같아 보이기도 한다.경북 의성군 안평면 석탑리 산 208번지, 막걸리가 솟아났다는 누룩바위를 지나 마을 안 좁은길을 지나 주차장이 있는 논 주변이다. 고려 시대 석탑으로 2021년 유형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0 09:20

놀라운 효행을 선명히 알리다 보물 『삼강행실효자도』

놀라운 효행을 선명히 알리다 보물 『삼강행실효자도』 몇 해 전 시할아버지의 아흔다섯 번째 생신 잔치에서 있었던 일이다. 시할아버지께서 맞은편에 앉은 막내아들에게 말씀하셨다. “아들아, 노래 한 곡 해 봐라.” 그러자 머리가 희끗한 막내아들이 대답했다. “아부지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4-10 07:24

왜관 철교 끊고 죽음으로 막아

왜관 철교 끊고 죽음으로 막아칠곡 왜관철교 漆谷倭館鐵橋 (낙동강구철교, 호국의 다리, 왜관 인도교)등록문화재 제406호칠곡 왜관철교는 경부선의 약목역과 왜관역 사이에서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철도교였다. 이 다리는 일본이 대륙침략을 위해 부설한 군용철도의 교량이다. 194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3-30 18:13

비운의 왕비 인현왕후가 걷던 길

비운의 왕비 인현왕후가 걷던 길김천시는 인현왕후가 3년 동안 기거했던 청암사를 품은 수도산 자락에 인현왕후 길을 만들었다. 인현왕후 길은 조선 숙종의 비인 인현왕후가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에 있는 청암사에 머물면서 산책했던 옛길에서 유래하였다. 인현왕후 길은 수

문화 유시문 기자 2023-03-30 11:36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