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에는 호남 5매를 돌아보자

긴 겨울을 지내고 첫 번째 피어나는 꽃, 산신령도 반한 매화이다.

올봄에는 호남 5매(梅)를 돌아보자

긴 겨울을 지내고 첫 번째 피어나는 꽃, 산신령도 반한 매화이다.

매형국제(梅兄菊弟)라는 말이 있다. 매화는 모든 꽃의 가장 큰형이 되고 가을 서리를 맞으며 늦게 피어나는 국화는 꽃들의 막내가 된다는 말이다. 봄을 맞아 매화를 찾아보는 일을 탐매(探梅) 여행이라 부른다.

호남지역에는 명품 매화 다섯 곳을 ‘호남 5매(梅)’라고 부른다.

장성 백양사의 고불매(古佛梅), 선암사의 선암매(仙巖梅), 담양 지실마을의 계당매(溪堂梅), 전남대의 대명매(大明梅), 고흥 소록도의 수양매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수양매는 노화로 죽고 화엄사의 화엄홍매(華嚴紅梅)를 호남5매로 꼽기도 한다.


                                                                            사진   네이버


장성 백양사 고불매(古佛梅)는 천연기념물 제486호로 백양사 우화루 곁에 있는 수령 350년, 나무 높이 5.3m 된 홍매화다. 매년 3월 말경에 연분홍빛 꽃을 피우는 홍매(紅梅)며, 2007년 10월 8일 천연기념물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고불매는 1700년경부터 스님들은 이곳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 여러 그루의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 1863년 사찰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을 때, 그때까지 살아남은 홍매와 백매 한 그루씩도 같이 옮겨 심었다. 그러나 백매는 죽어 버리고 지금의 홍매 한 그루만 살아남았다. 1947년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白羊寺) 고불총림(古佛叢林)을 결성하면서 이 매화나무를 ‘고불매’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홍매는 색깔이 아름답고, 향이 짙어 한 그루의 매화나무가 경내를 매화 향기로 가득 채워 산사의 정취를 돋우고 있다. 아래부터 셋으로 갈라진 줄기 뻗음은 고목의 품위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모양도 깔끔하여 매화나무의 기품이 살아 있다.


                                                                              사진   네이버


순천 선암사 선암매(順天仙岩寺 仙巖梅)는 선암사 경내의 매화나무다. 수령이 350~650년에 이르는 국내 최고령 매화나무 50여 그루가 서식하고 있다. 담장을 따라서 피어난 23그루 매화나무는 3월 중순경에 만개하여 장관을 이룬다. 이들 매화나무를 가리켜 선암매(仙巖梅)라고 부른다. 선암매 나무들의 높이는 5~12m까지 다양하다. 2007년 11월 26일 흰 매화 1그루와 분홍 매화 1그루가 천연기념물 제488호로 지정되었다. 고려 때 중건한 선암사 상량문에 와룡송과 매화 관련 기록이 남아있어 매화와 깊은 인연이 있는 팔상전 뒤에 있는 선암매는 620년이나 된 백 매화다. 무전과 팔상전 주변 22 그루의 매화가 조화롭게 활짝 피며 사찰 지붕이 온통 꽃으로 덮이고, 매향으로 산사를 뒤덮는 곳이다


                                                                        사진   네이버


계당매가 있는 지실마을의 행정 지명은 지곡리다. 지실은 전남 담양 가사문학면에 있는 가사문학관 뒤편에 있는 장원봉 자락에 들어서 있는 고즈넉한 동네며. 계당매는 송강 정철의 넷째 아들이 심은 것으로 홍매화와 백매화가 나란히 자태를 뽐내고 있다. 무등산을 바라보고 좌측에 소쇄원, 우측에 식영정, 마을 앞 창계천 건너에 환벽당이 있어서 1동 3승(1洞 3勝) 한 동네에 3개의 명승지가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널리 알려진 유서 깊은 동네다.

계당매가 서있는 ‘계당’은 만수동 계곡 옆에 들어선 집이란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본래는 안채를 비롯해서 여러 채가 있었지만, 1902년 화재로 일부 소실되었고, 1951년 6‧25전쟁 당시 빨치산들의 방화로 인해 사랑채만 간신히 남고 전 가옥이 없어져 버렸다. 이후 1986년 정 송강의 15대 후손 정하용 선생이 사랑채 지붕을 새로 올리고 계당 현판을 걸어서 현재 모습으로 단장해 놓았다.


                                                                                     사진   네이버


전남대 대강당 옆에는 대명매가 있다. 1621년 월봉 고부천 선생이 명나라 희종 황제로부터 홍매 1그루를 선물 받아 고향인 담양 유천리에 심고 대명매로 불렀다. 여기 있는 나무는 그 명나라에서 가지고 온 나무는 아니고 그 나무의 후손으로 1918년 고부천 선생의 11세손 고재천 박사께서 분주하여 키우던 것을 1972년 전남대 농과대학장 재임시 대학에 기증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화엄사 제1회(2021년) 매화 사진전 수상작


부용매(芙蓉梅)로 알려진 구례 화엄사 들매화는 경내 작은 암자인 길상암 앞에 자리하고, 인위적으로 가꾸지 않은 자연 상태의 매화이며 화엄사에 딸린 암자 '구층암(길상사)'에 순백의 여린 매화꽃 일명 부용매 또는 연화매라 불리는 들매화다. 천연기념물 제485호로 지정되었으며, 화엄사 홍매는 유난히도 붉은 빛을 띄워 흑매(黑梅)라고도 불린다. 부용매의 유래를 보면, 화엄사 주지였던 부용영관대사(芙蓉靈觀大師)는 화엄사를 대가람으로 발전시켰으며 조선 시대의 불교를 중흥시킨 서산휴정(西山休靜), 부휴선수(浮休善修) 등 많은 제자를 두었다. 부용스님이 포행을 하시면서 구층암에 이르러 들매화를 보며 "순백하고 아름답고 자연스러움에 매료되어 나와 너가 다르지 않구나" 하여 들매화를 부용매(芙蓉梅)라고 하며 또한 일명 화엄사 연화장세계에 있다 하여 연화매(蓮華梅)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화엄사는 매화 기화시기에 맞춰 3월 10일부터 27일까지 매화 사진 공모전 “제2회 홍매화 들매화 사진대회”를 연다. 참배객들은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사진대회에 참여할 수 있다. 사진대회 문의. 061)783-7600(화엄사)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