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풍경

백곡이 무르익는 황금의 들녁에 선조들의 지혜 중 한 가지인 추석이다.

한가위 풍경

백곡이 무르익는 황금의 들녁에 선조들의 지혜 중 한 가지인 추석이다.

사대부 집에도 설날, 한식, 추석, 동지 등 4일은 성묘하고 제사를 지냈다. 당나라에도 병사, 노예, 고용인, 거지도 이날만은 부모의 산소에 찾아가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8월이 되면 종묘와 사직에 겸허한 마음으로 제사를 지내고 농가에서는 차례를 준비하고 산소 벌초를 하는 등 크고 작은 행사가 벌어지는 시절이다. 추석은 한가위, 가배, 중추절 등으로 부르며 성묘의 날이기도 하다. 농가에서도 일년 중 가장 중요한 명절로 여긴다. 이에 말하기를 '더 하지도 말고 덜 하지도 말며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하였다. 한가위의 '한'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를 말한다. 한 달의 가운데 즉 큰 달이 뜬다는 것이다.

신라 3대왕 유리왕 때 가배의 행사를 들 수가 있다. 6부의 여인들을 두 패로 나누고 왕녀 두 명으로 하여금 그 패를 각기 통솔하게 하는 무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두 편의 여인들은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길쌈을 하여 그 척수로 승패를 결정하였다. 이 때에 진 편에서는 이긴 편을 대접하고 진 편에서 한 여인이 일어나서 춤을 추고 탄식조로 부른 노래가 회소곡의 유래라고 한다. 이것을 가배놀이라고 했다.

이로써 땀 흘려 일하는 근로정신을 함양하고 농민들에게는 사기를 돋우는 풍조라 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족을 융합단결 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한편으로는 추석놀이에서 생산성 있는 행사를 권장하였다. 회소놀이에서 길쌈을 하여 의복을 만들었고 씨름과 그네뛰기를 장려하여 남녀에게 상무정신을 길렀다. 石戰과 서낭당제를 권장한 것은 마을과 도성을 지킬 돌멩이들은 그 당시에는 무기의 하나였다.

햅쌀로 송편을 빚어 먹는 풍속도 성행하였다. 또 추석이 되면 백과가 무르익어 햇과일을 차례상에 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고기와 술을 집집마다 나누어 먹었다. 제주도 풍속에는 8월 보름날 남녀가 같이 모여 노래와 춤을 추며 좌우로 편을 가르고 굵은 줄을 잡아당겨 승패를 겨룬다. 만약 줄이 끊어지면 양쪽은 모두 땅바닥에 나 딩굴며 구경꾼들은 크게 웃는다. 이 모양을 조리지회 즉 줄다리기놀이라 한다.

코로나 시국에 계속되는 침체기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기를 간절히 빌어본다. 더구나 불필요한 비가 너무 자주 내려서 곡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물가까지 올려놓았다. 둥근 달을 바라보며 시름을 놓고 즐겨보자.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태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