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안보위기’ 내세워 한일불교대회 연기 요청
日 정부와 언론, 美의 대북한 군사행동 강조와 연관
일본이 “한반도 유사시 5만7000명가량의 한국 내 일본인을 대피시키는 동선까지 구체적으로 마련했다”는 등 한반도 안보위기를 고조시키는 가운데 일본 불교계가 한․일불교대회의 연기를 요청해왔다.
일한불교교류협의회(회장 후지타 류조 스님)는 최근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에 “안보 불안이 해소될 때까지 행사를 연기하자”는 공문을 보내왔다.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 관계자는 “일본 불교계에서 안보 불안을 이유로 연기 요청을 한 것은 맞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며 “오는 24일 열리는 회의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일 불교계는 오는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보은 법주사에서 ‘청소년 인격형성에서 사찰의 역할’을 주제로 제38차 한일불교문화교류대회를 개최하기로 한 바 있다.
한일 불교계는 오는 6월 12~14일 법주사에서 제38차 한일불교문화교류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일본 측 요청에 한국 측은 행사 연기를 잠정 결정했다.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는 지난 1977년 제1차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한일 불교 교류를 계속 해왔다. 한일 양국은 해마다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교류대회를 열고 한일 양국의 안녕과 세계평화를 기원해 왔다.
1977년 이후 단 한 해도 교류대회를 거른 적이 없으며 일본 불교계의 법주사대회 불참 통보는 한일 불교 교류 4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일본 불교계의 이번 결정은 최근 일본 언론을 중심으로 미국의 대북한 군사행동을 예고하는 보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국 측은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참사 희생자 추모법회를 2012년 일본 가마쿠라 현지에서 봉행하는가 하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경고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6년 도쿄 평간사 대회에 참석해서는 일본 쿠마모토 지진 복구도 기원했다.
편집부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