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자감소, 상황 인식도 대책도 없어 보이는 종단
불교<개신교, 결과가 아니라 시작에 불과 ②
해방 직후 우리나라의 종교인구 분포는 어땠을까? 인구주택총조사가 1980년대에나 시작되었으니 그 이전의 자료는 찾기도 힘들고 있어도 얼마나 정확한 지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2010년 <불교평론>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렸었다.
1960년보다 더한 불교의 위기
“한국전쟁을 계기로 전체적인 잠재적 종교 인구는 크게 증가하였다. 그렇지만 모든 종교에서 종교 인구가 증가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천주교와 개신교만 교세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개신교와 천주교는 분단국가를 수립한 1940년대는 물론 한국전쟁으로 시작된 1950년대에도 순조로운 교세 성장을 계속하였다. 개신교회는 해방 당시 신자 수가 불과 10만 명에 머물렀으나 1950년경에는 50만을 넘어섰고, 1950년대 말에는 100만 명을 상회하였다.
해방 이후 15년 동안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을 보여 주었다. 또한 내분을 겪지 않고 일사분란하게 분단국가 수립을 지지하며,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던 천주교도 해방 이후 급속한 교세 성장을 이룬다. 해방 당시 북한 교인 5만3천 명 정도의 신자를 잃었음에도 남한의 천주교회는 한국전쟁이 끝날 무렵, 해방 당시 남북을 합친 교세를 만회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말에는 연평균 16.5% 속도로 고속 성장하여 1960년에는 신자 수가 45만을 넘어섰다. 이런 급속한 성장은 기독교 선교 역사상 찾아보기 힘든 선교드라마를 남한에서 연출한 것이다.
반면, 불교와 유교는 교세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불교는 1952년 250만으로 집계되었으나 1960년에는 불교 인구가 120만 명 정도로 크게 반감하였다. 그리고 유교는 해방 이후 계속 감소하여 1959년 유도화총본부에서 회원등록제를 실시했을 때 30만에 불과하였다.” - 윤승용, <불교평론> 통권 제43호, 2010년 6월호
흔히들 1960년대 한국사회의 기독교화 추세는 기네스북에 오를 만큼 급격한 팽창이었다고 한다. 해방직후 미군정 치하에서 새로운 정권의 기틀을 잡는 과정과 한국전쟁 이후 미국 중심의 구호물자 배분 등에서 이전까지 최대 종교였던 불교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 반면, 정서적으로 서양과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었던 개신교와 천주교는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전근대적 사회였던 당시 가장 유력한 자산이었던 막대한 토지를 가지고 있던 불교 스스로 바뀐 상황에 아무런 대처를 하지 못한 것이 신자수가 급감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19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는 한국전쟁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이었던 1960년대의 재판을 보는 듯하다. 아니 오히려 막대한 물량과 정책을 쏟아 부으면서도 바뀌지 않았던 ‘불교는 우리나라 제1 종교’라는 위상을 허무하게 내줘버렸다는 점에서는 1960년대보다 더 충격적이고, 이런 추세가 앞으로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마저 깊게 든다.
상황인식도 대책도 없는 답답한 종단
더 불안하고 답답하게 하는 것은 한국불교를 대표한다는 대한불교조계종의 태도다. 10년 만에 신도수가 300만 명이 빠졌는데 거기에 대한 논평도 해명도 한 줄 내놓았다는 말을 해가 바뀐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했다.
근 50년 전에 팔아버린 봉은사 땅에 대해서 조계사, 봉은사 등 직영사찰은 물론 중앙종회와 교구본사연합회에 이어 급기야 총무원장까지 나서 돌려 달라, 수행환경 파괴니 짓지 말라는 일관되지 못한 주장을 담은 성명과 현수막을 남발하던 것과는 비교되는 일이다.
남들이 잘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못할 수는 있다. 하지만 내가 못한 것, 못한 것도 모르는 것, 못한 것을 인정하기 싫어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덮어두려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무능이자 무책임이다.
총무원은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것에 대해 꿀먹은 벙어리처럼 입을 닫고 있고, 중앙종회에는 당장 임시중앙종회를 소집하자는 종회의원 하나 없고, 지역을 대표한다는 교구본사주지 가운데 하나 긴급하게 본사주지회의 소집하자는 목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 것이 지금 대한불교조계종의 현실이다.
범계를 지적하는 재가자들의 주장에 대해 벌떼 같이 들고 일어났던 승려 논객들도 정작 불교 전체가 맞은 위기 앞에서는 반박도 수긍도 없이 외면해버리고 말았다. 종단의 책임 있는 기관과 인물들이 모두 하다못해 논평 한 줄 내놓지 못하니 상황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만들어지지 못하고 더더구나 대책은 더 요원한 현실에 봉착해 있는 것이다.
당연히 총무원이나 종단 주변의 책임 있는 단체에서 했어야 할 대응이 평소 종단에 비판적이었던 재가단체와 해종언론이라 매도했던 언론사가 포함된 한국불교언론인협회 측에서 먼저 마련되어 나온 것은 지금의 우리 불교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일이다.
참여불교재가연대(상임대표 허태곤)와 한국불교언론인협회(회장 이재우)가 같이 지난해 12월 29일에 개최한 <한국 불교 인구감소의 원인 분석과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긴급토론회>는 불교인구의 감소 원인을 첫째, 종교성을 잃어버리고 영업으로 전락해버린 사찰과 승려들의 포교행태 둘째, 승려들의 무너진 도덕성, 셋째, 신도를 구성원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는 태도 넷째, 위아래 할 것 없이 만연한 승가정치의 비대화 등과 더불어 원인을 남 탓으로만 돌리는 무책임한 태도 등을 들었다.
불자, 스스로 대책을 세워야 할 때
사실 총무원이 입을 닫고 있을 때 종단의 책임 있는 기관 가운데 유일하게 자기입장을 밝힌 곳은 대한불교조계종의 기관지인 <불교신문>이다. <불교신문>은 통계청 발표 당일인 12월 19일에만 조사방식에 대한 문제제기를 골자로 한 세 건의 기사를 쏟아내면서 앞서 언급한 재가단체들의 토론회에서 지적한 남 탓으로 돌리는 모습의 전형을 보여줬다.
정말 설문조사 방식만 바꾸면 잃어버린 300만이 돌아올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일이다. 불자들은 300만이 줄어든 것보다 이런 상황을 위기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종단에 대해서 더 큰 위기를 느낀다. 마치 세월호 사고 자체보다 그에 대처하는 정부의 태도가 문제였듯이 지금 종단은 불자들에게 아무런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닐까?
돌이켜보면 지금 대한불교조계종은 탄핵된 박근혜 정부 7시간처럼 이를 훨씬 능가하는 무능과 무책임한 모습을 보름 가까운 시간 동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남은 700만 명의 불자들은 종단 차원의 아무런 해명도 대책도 듣지 못한 채 보름 가까운 시간을 보냈다. 이웃종교의 공격적인 선교행위와 공직자들의 드러내놓고 벌이는 종교편향 행위, 그리고 각종 범계와 종단정치에 얼룩지고 찌들은 스님들 틈에서 겨우 겨우 살아남은 700만 불자들이 말이다.
자료출처 : 불교포커스 편집부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