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획

기획

장곡스님 법문 - 부부의 인연

장곡스님 법문처음 보는 순간일지라도 그에게 만족감을 느끼면그에게 믿음이 생겨난다. 과거의 인연이든 금생에 처음 만남이든사랑은 물속의 수련처럼 피어오른다,(법구경) 사람과 사람의 만남은 참 묘합니다. 생면부지의 사이가 이런저런 사연으로 선연도 맺고 악연도 맺기 때문입니다. 인연을 맺기 전까지 어찌 상상이나 했으리오? 그중에서도 부부로 맺어짐은 만남 중에서도 특별한 만남입니다. 남남인 남녀가 서로 만나 한집에서 동고동락하며 가족을 이루어 살아가니 어찌 특별하지 않으리오? 부처님께선 인연경에 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1-01-22 10:29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석등은 해가 저물고 등불을 켜서 그 불빛이 석등을 통해 사방으로 퍼질 때 가장 화려해진다. 형태적 예술성도 좋지만 조형예술은 그 기능을 다 할 때 예술성이 완성되는 법이다. 이 정도 크기와 형태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21 23:20

覆水不返(복수불반) 엎지른 물은 도로 담을 수 없다.

覆水不返(복수불반)엎지른 물은 도로 담을 수 없다.      - 지광응천스님 - 한번 저질러진 일은 돌이킬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주나라를 세운 무왕의 아버지 문왕의 시호를 가진 서백이 어느날 황하의 지류인 위수로 사냥을 나갔다. 피곤에 지쳐 강가를 한가로이 거닐다가 낚시질을 하고 있는 초라한 행색의 한 노인을 만났다. 수인사를 나누고 이것저것 세상사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백은 깜짝 놀라고 만다. 초라하고 늙은 외모와는 달리 식견과 정연한 논리가 범상치 않았던 것이더라. 단순히 세상을 오래 산

기획 유시문 기자 2021-01-21 22:40

법난 - 법화경의 신심이 더해질 뿐이로다.

법난 - 법화경의 신심이 더해질 뿐이로다.쏘는 화살은 비 오듯 하고 내려치는 칼은 번개와 같았노라. 제자 한명은 그 자리에서 죽고 두 명은 크게 다쳤느니라. 나도 베이고 맞아서 마지막인 듯 하였는데 어찌된 일인지 모면하여 지금까지 살아 있느니라. 더욱 더 법화경의 신심(信心)이 더해질 뿐이로다.  - 일련대성인 남조병위 칠랑전어서 (p327)일련의 일행을 습격한 염불자들이 쏘아대는 화살이 떨어지는 비처럼 날아오고 내려치는 칼은 번개와 같았노라. 제자 한명은 그 자리에서 숨지고 두 명은 크게 다쳐

기획 유시문 기자 2021-01-21 22:23

보물 제311호 『금계일기』

보물 제311호 『금계일기』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에 있는 국립진주박물관에는 정유재란 당시 포로가 된 노인(魯認)의 『금계일기(錦溪日記)』가 소장되어 있다. 현재 1책(67매)으로 남아 있는 필사본이며, 세로 33.4㎝, 가로 23.5㎝이다. 노인은 내수사 별제(內需司別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21 10:23

불교에서는 묘사하는 지옥

그림으로 보는 지옥순례기 불설대목련경변상도(佛說大目連經變相圖)어린 시절 어느 날 밤 느닷없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어 알 수 없는 두려움에 잠을 이룰 수 없던 기억이 있다. 인간은 끝 모르는 듯 진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어쩌지 못하는 것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7 14:25

화력덕후의 나라, 조선

화력덕후의 나라, 조선화력덕후의 나라, 조선 왕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바로 외적의 침략에서 국가를 지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기개발은 고대부터 국가의 중요한 과제였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향하던 시기, 무기개발은 더 치열해졌고 더 과학적으로 업그레이드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7 11:37

한일합방에 협력한 대가로 작위를 받은 조선 귀족들

한일합방에 협력한 대가로 작위를 받은 조선 귀족들단체로 도쿄 관광여행도 다녀왔다.▲ 을사늑약(1905)의 전문. 일제는 이 강제 불법 조약을 통해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했다.2015년 영화 이 천만대 관객을 모으면서 사람들에게 청산되지 못한 식민지 시기 역사를 새삼 돌아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5 11:04

역사의 조각을 찾아서

역사의 조각을 찾아서남원은 광한루, 실상사, 만복사지, 황산대첩비지 등 쉽게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는 지역이다. 그중에서도 ‘만 가지 복을 기원한다’는 뜻을 지닌 만복사(萬福寺)는 다양한 문화재와 이야기가 엉켜 있는, 살아있는 역사의 조각이다. 사적 제349호 남원 만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4:54

바르게 고치고, 새롭게 쓰다

바르게 고치고, 새롭게 쓰다문화재의 복원과 재현은 역사를 되새기는 작업이다. 산업혁명 이전의 세계는 문화재의 보존에 대한 이론과 방법이 전무했다. 무지의 연습을 반복하며 복원 기술과 재현의 정교함이 더해졌다. 어느덧 우리나라도 문화재를 복원하는 데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4:45

국보 제11호 백제 최대 가람, 미륵사지

국보 제11호 백제 최대 가람, 미륵사지백제 최대의 가람인 미륵사 창건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신라 선화공주와 혼인한 후 왕이 된 마동 즉, 무왕(백제 30대왕 600-641)이 선화공주와 함께 용화산(현재의 미륵산) 사자사의 지명법사를 찾아가던 중이었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2:47

다라니 품제26 (陀羅尼品第二十六)

다라니 품제26(陀羅尼品第二十六)악귀가 법화경 수행자 수호를 맹세하다.(법화경이 귀신 잡는 불법이라는 것이 밝혀진 경문입니다)- 이때 십나찰녀 등이 있었으니 첫째 이름은 람바이고, 둘째 이름은 비람바, 셋째 이름은 곡치, 넷째 이름은 화치, 다섯째 이름은 흑치, 여섯째 이름은 다발, 일곱째 이름은 무염족, 여덟째 이름은 지영락, 아홉째 이름은 고제, 열째 이름은 탈일체 중생정기 이었다.이 열 명의 ① 나찰녀(羅刹女)는 ② 귀자모신(鬼子母神)과 아울러 그 아들의 권속들과 함께 세존 앞으로 나아가 다

기획 유시문 기자 2021-01-14 12:07

전통혼례

전통혼례신랑과 신부가 서로 처음 얼굴을 보고 절을 올리는 교배례혼례 중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절을 주고받는 의식을 교배례라고 한다. 혼례 과정 중 처음으로 신랑과 신부가 얼굴을 보는 순간이다. 교배례는 신붓집에 마련되는 초례청에서 진행된다. 초례청에는 신랑과 신부 사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3:11

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

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제불수호란행 (不須胡亂行) 발걸음을 함부로 어지러이 걷지 마라.금일아행적 (今日我行跡) 오늘 내가 걸어간 발자국은수작후인정 (遂作後人程)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이 작품은 김구(金九) 선생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1:33

민요 지역적 특성

민요는 민중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소박한 노래로 겨레의 정서를 대변한다. 역사와 전통이 풍부한 민족일수록 뿌리 깊은 민요의 가락이 많고, 신화나 설화가 가락화된 경우도 있어 민족의 구심점이 되기도 한다. 민요는 지역에 따른 선율의 특성, 즉 토리에 따라 경토리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0:06

  • 6
  • 7
  • 8
  • 9
  • 10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