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공부의 바른 길을 찾다

교육, 공부의 바른 길을 찾다                              유교 경서 《오경》 Ⓒ한국학중앙연구원우리나라의 학교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3-14 10:25

우리의 언어 교육 문화유산

우리의 언어교육 문화유산국제화 시대, 세계시민교육 등이 중요한 오늘날 외국어 교육은 필수를 넘어서는 중요성이 있다. 모국어 교육뿐 아니라 언어 교육은 세계화 시대 자신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에게 언어 교육은 언제부터 중요하였을까  &nb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3-11 09:38

터널 공사 중 발견된 영월 분덕재동굴

터널 공사 중 발견된 영월 분덕재동굴2020년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과 북면 사이 분덕재터널 공사가 있었다. 공사 중 의외의 발견이 있었으니 바로 동굴이었다. 고생대 화석이 발견된 ‘마차리층’ 동굴 중 최대 규모로 현재 조사된 국내 석회암 동굴 중 세 번째로 큰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3-09 18:53

임금님 능에 행차하시네

임금님 능에 행차하시네조선시대 국왕이 선대왕이나 왕비의 무덤에 참배하러 가는 것을 능행(陵幸)이라고 한다. 단순히 능에 간다는 뜻이라면 行(갈 행) 자를 쓰면 될 것을 왜 幸(다행 행) 자를 쓰는 것일까.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하는 것을 행행(行幸)이라고 하는데, 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2-20 12:53

우리나라 ‘탑’의 모든 것

우리나라 ‘탑’의 모든 것우리나라 '탑'의 모든것 우리가 흔히 부르는 ‘탑’의 어원은 탑파(塔婆), 스투파(Stupa)이다. 탑파는 고대 인도어인 범어(스투파 stup)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스투파의 의미는 ‘신골(身骨)’을 담고 토석(土石)을 쌓아 올려 불신골(진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2-15 14:06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

시대를 초월한 아름다움 백제 장신구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다                        01.무령왕 금제관식(국보) Ⓒ국립공주박물관1971년 7월 8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2-14 21:22

대한제국 황제 고종과 순정능

남양주 홍릉과 유릉 (南楊州洪陵과裕陵)사적 홍릉洪陵은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 1852~1919과 명성황후민씨 明成皇后 閔氏: 1851~1895의 합장능이다, 고종과 명성황후조선 26대 왕(1863~1897)이자 대한제국 1대 황제(1897~1907)인 고종高宗(18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2-03 19:48

5만 년 전 별똥별 떨어진 그곳

별똥별 떨어진 그곳대암산(591m), 적중·초계분지대암산은 경남 합천군 초계면에 있는 산이다. 그곳은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있고 이 산 아래에 5만 년 전 운석이 떨어져 엄청난 폭발이 있었고, 중심부가 넓은 그릇처럼 움푹 팬 지형이 생겨났다. 초계면과 적중면 두 지역에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1-28 11:27

광화문 월대와 현판 복원 옛 모습 찾은 광화문

광화문 월대와 현판 복원 옛 모습 찾은 광화문오랜 기간 경복궁의 본 모습을 찾아가는 복원을 진행해 온 문화재청은 지난 10월 15일 왕과 백성이 소통하던 공간인 월대가 복원됨으로써 광화문이 완전히 제 모습을 찾았음을 알렸다. 온전한 모습으로 국민에게 돌아온 광화문이 '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1-26 08:54

전통 모자의 품격과 위상을 담은 기술, 갓일

전통 모자의 품격과 위상을 담은 기술, 갓일국가무형문화재(1964. 12. 28. 지정) 갓일은 조선시대의 성인 남성이 쓰던 모자인 갓을 만드는 기술이다. 갓일은 총모자를 짓는 일, 양태를 짓는 일, 총모자와 양태를 조립하여 완성하는 일까지 모두를 포함한다.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1-26 08:45

잃어버릴 뻔한 국보

잃어버릴 뻔한 국보,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의 가치와 아름다움현재 밀양 표충사호국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국보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청동 은입사 향완으로 고려시대 향완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1-26 08:33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위엄 속에서 자비를 느끼다

보물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위엄 속에서 자비를 느끼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사천왕의 어마어마한 크기, 치켜 올린 눈썹, 내려다보는 시선에 담긴 위엄에서 위압감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 속에는 자비와 익살스러움 등 다양한 표정이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1-20 19:42

치욕과 정쟁의 진실, 서울 삼전도비(서울 三田渡碑)

치욕과 정쟁의 진실, 서울 삼전도비(서울 三田渡碑)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근처에 있는 비석으로, 인조 17년(1639), 높이 3.95m, 폭 1.4m로 세워진 삼전도비는 치욕과 정쟁의 역사가 스며 있는,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로 사적 제10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1-20 17:04

『승정원일기』에는 있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없는 기록들

『승정원일기』에는 있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없는 기록들1392년 건국하여 518년간 존속한 조선 왕조에서는 왕의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을 기록하는 매일의 일기가 있었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가 그것으로, 오늘날 대통령 비서실의 기능을 수행하는 승정원에서 작성하

문화 유시문 기자 2024-01-18 13:28

띠배를 떠나보내는 염원

띠배를 떠나보내는 염원서해 앞바다에 있는 위도의 대리마을에서는 정월 초사흘 마을 입구에 있는 당젯봉에 올라 제를 올린 후 먼바다로 띠배를 띄워 보내는 띠뱃놀이를 한다. 마을 사람들은 띠배가 모든 액을 싣고 가기를, 용왕님의 보살핌 속에 고기가 가득 들기를 염원한다. 전

문화 김은혜 기자 2024-01-18 09:51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