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먹으면 큰일 나는 음식들, 알고 계셨나요

잘못 먹으면 큰일 나는 음식들, 알고 계셨나요
 
장터에서 싱싱해 보이는 소라로 소라찜을 해먹은 직장인 임모 씨. 1시간쯤 지났을까 갑자기 어지럽고 속이 메스꺼워졌다. 체한 것인가 했는데 소라찜을 같이 먹은 남편도 같은 증상을 호소했다.  
 
심지어 더 많이 먹은 남편은 앞이 안 보일 정도로 머리가 조이는 고통을 느낀다고 했다.식중독인가 싶어 검색으로 해보니 소라에 독이 있단다. 이 무슨 청천벽력 같은 소리인가? 복어 독은 들어봤어도 소라 독은 처음이다. 
 
우리가 먹고 사는 음식들 중에서 생각보다 여러 음식에 독성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소라 독도 내성이 있으면 모르고 지나간다고는 하지만 자칫하면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 독성을 지녔다고 한다. 모르고 먹으면 위험할 수도 있는 독성을 지닌 음식을 정리했다. 
 
약이 되는 음식, 독이 되는 음식 
 
천연독소인 솔라닌(solanine)과 차코닌(chaconine)이 있다. 특히 껍질 부분에 많이 있으며, 싹이 트거나 껍질이 녹색으로 변한 감자에는 더 많이 있다.  
싹튼 감자의 경우 싹을 도려내면 어느 정도 독성을 제거 할 수 있지만, 녹색으로 변한 감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독성은 요리를 해도 없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솔라닌은 적혈구 파괴및 신경계 손상을 일으키고 구토,설사,복통을 유발한다.  
 
감자를 보관할 땐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싹 트는걸 방지 할 수 있다. 하지만 감자와 양파를 같이 보관하게 되면 둘다 금방 상한다. 
감자와 같이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단백질이 적은 식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면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냉장고보다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초록 껍질 감자, 익혀도 毒 그대로 
 
버섯 
 
양송이과 표고버섯에는 agritine이라는 발암물질이 있다. 그러므로 생으로 먹는 것 보다 말려서 먹거나 익혀서 먹는것을 권장한다. 특히 표고버섯은 생으로 먹는것을 조심해야 한다. 독버섯에 있는 독은 요리를 하더라도 분해 되지 않기 때문에, 독버섯은 먹지 말아야 한다. 
 
콩류 
 
작두콩에는 두통을 유발하는 타이라민 성분이 있다. 항 우울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절대 먹지 말아야 하며, G6PD라는 유전병을 가진 사람은 작두콩을 먹으면 생명이 위험할수도 있다. 
붉은 강낭콩은 생으로 다섯개만 먹어도 치명적일 수 있다. 물론 생으로 먹는 경우는 흔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 때문에 목숨을 잃은 사람은 거의 없다.  
콩류에든 독성분은 PHA(Phytohemagglutinin)라고하는데, 이것은 살충제의 성분으로 충분히 끓여주면 독성을 제거할수 있다. 약한 불에 천천히 요리할때에는 붉은 강낭콩을 쓰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독성을 오히려 농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 콩·치즈도 毒이 될 수 있다 
 
호박 
 
오래된 호박은 당분이 발효되면서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이라는 독소가 다량 생성된다. 이 독소는 수박, 오이 같은 박과의 식물들이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살충 성분으로 독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급성 위염, 급성 장염, 급성 위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한 호박을 먹을 때는 혀끝에 대어 쓴맛이 난다면 되도록 먹지 않도록 하고, 속을 잘 긁어내고 먹는 것이 좋다. 
 
고구마 
 
껍질이 갈색을 띠거나 검은 반점이 생긴 고구마는 흑반병병균에 오염된 고구마로, 먹을 경우 쓴맛이 나며 메스꺼움과 설사 등의 여러 증상이 생긴다. 사람은 물론 동물에게도 먹이지 않아야 한다. 
 
헛개나무 
 
간에 좋다고 알려졌지만 너무 많이 먹게  되면 헛개나무의 피롤리디진이라는 성분이 세포 DNA 의 변형을 일으켜 신장암, 신부전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은행 
 
징코플라본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을 개선해주고 고혈압에 좋은 효과가 있다. 그러나 청산이라는 독성분이 있어서 꼭 조리해서 먹는 것이 좋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청산배당체에 중독되어 설사나 마비 증세가 올 수도 있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