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교육기관이였던 (성균관)

조선의 교육기관(성균관)

성균관과 문묘
성균관 : 조선시대 인재양성위해 서울에 설치한 최고고등교육기관
문묘 :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지내던곳

우리나라 교육기관의 역사
고구려 : 소수림왕 2년(372년) 태학설립
신라 : 신문왕 2년(682년) 국학세움
백제 : 기록이 없으나 고흥을 박사로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일찍부터 교육이 이루어 졌음을 알수 있음.
고려 : 성종11년(992년) 국자감. 충렬왕 34년(1308년) 성균관으로 개칭

고려의 성균관과 조선의 성균관의 차이점
고려 : 기술학과 인문학 모두 가르침
조선 : 이를 분리함. 기술학부는따로 설립. 유학교육만 전담

성균관의 중심이 되는곳이 문묘. 714년 성덕왕13년에 처음 설립. 공자와 10철, 72제자배향. 대성전에 공자를 중심으로 4성(안자,증자,자사자,맹자)을 중앙에 배향. 좌우에는 공자의 문하에서 가장 뛰어난 제자 10명과 우리나라의 유학자 18명의 위패모심. 성균관 학생들이 이들을 본보기로 삼아 학문에 열중하여 인성을 닦고 나라에 필요한 인재로 거듭나라는 의미. 문묘에서는 정기적 제향을 지냄. 봄과 가을에 지내는 석전대제는 무형문화재
                                                                            석전대제

건물의 배치는 조선의 성균관은 전묘후학이라하여 대성전이 앞에있고 뒤에 성균관이 있습니다. 고려(개성)때는 전학후묘로 조선과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이 모여 학문을 배우는 공간은 명륜당. 인간의 도리를 밝게 하는곳이란 뜻.
                                                                                명륜당

동재와 서재 : 유생들이 먹고 자면서 공부하는곳
                                                        동재의 모습. 서재는 공사중입니다.^^

은행나무 : 문화재로 지정됨. 과거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을 모아 놓고 예를 가르쳤다는 말에 따라 심은 나무. 성균관을 杏檀(행단)이라 부르기도 함.
                                                     성균관의 은행나무. 겨울이라 앙상해 보이네요.

성균관의 교육 운영 체제
지사(정2품) 1인, 동지사(종2품) 2인, 대사성(정3품) 1인, 사성(종3품) 2인, 사예(정4품) 3인, 직강(정5품) 4인,
전적(정6품) 13인, 박사(정7품) 3인, 학정(정8품) 3인, 학록(정9품) 3인, 학유(종9품) 3인
지사는 대제학이 겸직. 동지사도 당상관이 겸직.

성균관의 교육내용(교육기간 : 3년7개월)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예기, 춘추, 시경, 서경, 주역. 사서오경
대학 : 1개월
논어와 맹자 : 각 4개월
중용 : 2개월
시경(정서) : 6개월
서경(정치학) : 6개월
춘추(역사) : 6개월
예기(제도,사상,풍속) : 7개월
주역(우주의 생성원리) : 7개월

이과정후에 근사록, 성리대전. 통감, 좌전, 송원절요, 경국대전. 동국정운 등을 통해 역사에 대한 교육 보강
서원과 향교도 건물의 배치나 교육(주로 사서오경)은 성균관과 비슷합니다.

                       문묘의 중심건물인 대성전. 공자를 비롯한 오성과 10철. 한국의 18성현을 모신곳
                                  대성전 앞쪽의 좌우건물은 동무와 서무. 중국의 52현을 모심

       자료출처 : 조동훈 선생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