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ㆍ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의 독립유공자 서훈 등급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정부 당국자가 28일 전했다. 유 열사가 받은 건국훈장 ‘독립장’은 5등급 가운데 3등급으로, 이를 1등급이나 2등급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동안 제기돼 왔다. 정부 당국자는 “그동안 각계에서 유관순 열사의 서훈 등급을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해 왔다”며 “3ㆍ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와 행정안전부가 유 열사의 독립유공자 서훈 등급을 올리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도 지난 21일 주례 오찬회동에서 3ㆍ1운동 100주년 행사와 관련해 유 열사의 서훈 격상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고 한다. 유 열사는 3ㆍ1운동의 상징적 인물이지만, 독립유공자 서훈이 그의 공적과 상징성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유관순열사기념사업회는 지난해 5월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유관순 열사 서훈 3등급을 상위등급으로 올리기’라는 제목의 국민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포상현황에 따르면 김구ㆍ안창호ㆍ안중근 등 30명이 대한민국장(1등급)이고, 신채호 등 93명은 대통령장(2등급)으로 분류돼 있으나 유 열사는 이들보다 낮은 단계인 독립장(3등급)에 포함돼 있다. 그러나 같은 공로로 서훈을 재심사해 상향하는 것은 현행법에서는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어 실제 유 열사의 서훈 상향이 성사될지는 확실치 않다. 이와 관련, 보훈처 관계자는 "훈장 공훈의 제도적 안정성을 기하자는 차원에서 현재 상훈법상 동일 공적으로 재심을 통해 상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현재 서훈을 상향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른 공적으로 건국훈장을 다시 한 번 수여하는 방안은 실행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각에서 유관순 열사의 서훈 상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며 "서훈을 관할하는 행정안전부나 여성이나 학생 인권을 향상한 업적을 여성가족부 등에서 평가해 공적을 다시 작성할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 중앙일보]
3.1운동의 아이콘인 유관순 열사는 충청남도 천안(天安)에서 태어났다. 1914년 공주영명여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16년 선교사의 소개로 서울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교비생으로 편입하였다. 1918년에는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들과 함께 가두시위에 참가하였고, 일본총독부의 학교휴교령으로 휴교에 들어가자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가 만세시위에 참가하였다.
천안·연기(燕岐)·청주(淸州)·진천(鎭川) 등지의 학교와 교회 등을 방문하여 만세운동을 협의하고 음력 3월 1일 아우내[竝川] 장터에서 3,0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출동한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이때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어머니 이씨(李氏)는 일본 헌병들이 쏜 총에 맞아 피살되고, 집마저 불탔으며, 자신은 공주 검사국으로 이송되었다. 그곳에서 영명학교(永明學校)의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끌려온 오빠 유관옥(柳寬玉)을 만났다. 그후 경성복심법원에서 3년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 중 고문에 의한 방광파열로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96년 5월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명예졸업장을 추서하였다.
이번에 발의된 이른바 '유관순서훈승격특별법'은 국가가 유관순 열사의 공적 내용과 국가와 사회에 미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훈 변경을 할 수 있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는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박완주 의원은 "유관순 열사의 서훈 등급 상향은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적 요구"라며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문을 낭독했던 민족대표 33인의 자주독립의지를 계승하기 위해 33인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특별법과 결의안 발의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