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여행

여행

동양 3국의 건축양식이 다 모인 곳, 보길도 정자리 김양제 고택.

동양 3국의 건축양식이 다 모인 곳, 보길도 정자리 김양제 고택.고산 윤선도로 유명한 섬 보길도 정자리에는 완도 향토유적으로 지정된 김양제(김동성) 고택이 있다. 이곳 김 씨 고택은 조선 말 고종 때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을 역임하고

문화 박주성 기자 2022-01-22 11:50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5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5충청도와 경상도를 잇는 죽령 옛길명승 제30호 죽령 옛길은 경상북도 영주시와 충청북도 단양군을 연결하던 옛길이다. 현재 죽령을 통과하는 길 가운데 영주시의 희방사역에서 고갯마루의 죽령 주막에 이르는 구간이 죽령 옛길로 남아 있다. 20세기 초

문화 유시문 기자 2022-01-21 11:02

경복궁 향원정, 제 모습을 찾다

경복궁 향원정, 제 모습을 찾다3년에 걸친 복원 완료, 취향교는 아치형 목교로 원형 복원 지난 11월 5일, 경복궁 향원정이 3년 만에 복원을 완료했다. 이는 문화재청이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법궁(法宮) 경복궁의 원래 모습을 되찾기 위해 꾸준히 복원사업을 추진한

문화 유시문 기자 2022-01-18 23:36

옛 마을, 오늘의 매력이 되다.

옛 마을, 오늘의 매력이 되다.영덕 괴시마을 ‘영덕 괴시마을’은 고려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이 태어난 마을로, 함창 김씨(이색의 외가)가 처음 터를 잡은 이후 조선 인조대 영양 남씨가 정착하면서 남씨 집성촌이 되었으며, 경북 북부 해안지방에서 현재까지 단일 문중의 역사와

문화 유시문 기자 2022-01-06 22:32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4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4왕과 보부상들이 거닐었던 남한산성 옛길남한산성은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를 마주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남한산성은 정기시장이 열리면서 물건을 사고 파는 사람들의 통행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관청을 드나들던 사람들도 자주 이용하던 경로였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2-01-05 22:58

호남의 오대 본산 이야기

호남의 오대 본산 이야기호남에는 송광사, 선암사,  대흥사, 백양사, 화엄사 등 5대 본산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말들이 불가에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송광사에서 계율 자랑하지 말고, 선암사에서 문장 자랑하지 말라.대흥사에서 염불 자랑하지 말고, 백양사에서 인물

기획 유시문 기자 2022-01-02 13:06

십이지 (十二支)

십이지 十二支우리는 누구나 태어난 해에 따라 해당하는 띠를 가지고 있다. 태어난 시간도 띠가 있고 혼인할 때도 띠를 골라서 하고 집을 지을 때도 방향을 정해 짓고 죽은 뒤에도 띠로서 시간을 정해 땅으로 묻힌다. 띠는 곧 우주를 다스리는 五行의 신하들이라고 보면 된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2-01-01 16:58

100년 역사의 칠곡 가실성당

100년 역사의 칠곡 가실성당(漆谷 佳室聖堂)가실성당은 1895년에 조선교구의 11번째 본당으로 시작되었다. 말없이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강가에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이 성당에는 "안나의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종이 있다. 그 종에는 라틴어로 이런 글이 새겨져 있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30 20:54

'대동법'의 김육

'대동법'의 김육본관은 청풍. 자는 백후, 호는 잠곡·회정당. 증조부는 식이며, 아버지는 참봉 흥우이다. 국가재정과 농민생활 안정을 위해 대동법을 건의하는 등 제도개혁을 추진하여 조선 경제 전반과 신분제까지 영향을 미쳤다.경기도 유형문화제 제40호(1970.7.10)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30 09:50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정치가(政治家)이나, 부패한 관리를 적발한 암행어사로 이름이 높다. 영조가 박문수의 죽음에 대한 논평에 잘 나타난다. “나의 마음을 아는 사람은 영성 (박문수)이며 영성의 마음을 아는 사람은 나였다.” “잠잘 때 외에는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30 09:07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3

사연을 품고 있는 옛길 3산에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었던 산막이옛길산에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었던 산막이는 임진왜란 당시 피난민들이 살던 마을이었고, 조선 중기의 학자 노수신이 귀양살이를 했던 곳이다. 속리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달천 주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조선후기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9 11:45

경주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

감은사 동서 삼층석탑토함산에서 시작한 대종천이 봉길리 앞바다에 다다르기 전에 왼쪽으로 감은사가 남향으로 서 있다. 멀찍이 바라보면 하얀 돌로 된 석탑이 유난히 우뚝하다. 가까이 다가가면 생각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는 것을 느낀다. 탑 하나가 13평을 깔고 앉았으니 큰 것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3 11:15

티벳 탕카 화법으로 그린 다섯 고승의 진영

티벳 탕카 화법으로 그린 다섯 고승임금의 모습을 그리면 御眞(어진)이라 하고, 고승의 모습을 그리면 眞影(진영)이라 한다. 큰 스님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한 예술을 진영이라 부른다. 진영이란 이영심진(以影尋眞)의 줄인 말이다. 티벳 화가들이 탕카 방식으로 그린 한국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1 23:27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

낭산 사천왕사지 (慶州四天王寺址)선덕여왕의 예언대로 낭산 아래에 사천왕사가 세워졌다. 지금은 폐허가 되어 그 규모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심지어 7번 국도가 바짝 치고 들어와서 귀부는 거의 묻힐 지경이고 당간지주는 지나가는 차에 받쳐 깨어지기도 하였다. 그것뿐만 아니라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2-21 11:34

동지팥죽과 지귀(志鬼)의 사랑

동지팥죽의 유래와 지귀(志鬼)의 사랑동지팥죽의 유래와 선덕여왕의 성품을 엿볼 수 있는 설화가 삼국유사에 전해진다.신라 선덕여왕 때에 지귀(志鬼)라는 젊은이가 있었는데, 활리역(活里驛) 부근에서 살았다. 하루는 서라벌 거리를 떠돌다가 여왕의 행차를 보았다. 여왕의 모습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2-20 19:10

  • 6
  • 7
  • 8
  • 9
  • 10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