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획

기획

형태에 따른 다양한 장사 용어문헌과 문학작품에 표현된 시장의 속신어

형태에 따른 다양한 장사 용어문헌과 문학작품에 표현된 시장의 속신어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것을 ‘장사’라고 한다. 장사의 형태에 따라서 혼자 하는 경우도 있고, 둘 이상이 같이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 곳에 정착해서 독점적으로 장사하기도 하고, 교통수단과 교통로가 완전하지 않아 여기저기 이동해 다니면서 장사를 하기도 한다. 어울려서 하는 장사를 얼럭장사, 혼자 하는 장사를 외목장사, 이동해 다니며 하는 장사를 도붓장사, 부정기적으로 하는 장사를 뜨내기장사라고 한다.장사꾼들은 장사를 통해 최대한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10:48

"원품의 무명"을 자르고, 법화경의 대공덕을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법화경 제5의 권에"악귀가 그 몸에 들어가느니라"고 설해져 있는 것은 이것이니라. 예를 들어 등각의 보살일지라도 원품의 무명이라고 하는 대악귀가 몸에 들어가서 법화경이라고 하는 묘각의 공덕을 방해하는 것이니라. 어찌 하물며 그 이하의 사람에 있어서랴.   - 형제초(p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9 09:50

日 최초의 사찰 아스카(飛鳥寺), 백제 장인들이 세운 첨단건축물

日 최초의 사찰 아스카(飛鳥寺), 백제 장인들이 세운 첨단건축물日 최고 사찰 아스카테라, 부여 왕흥사가 표본 일본 불교의 1번지, 나라(奈良) 현 다카이치(高市都) 군 아스카(明日香) 촌에 있는 사찰인 아스카지(飛鳥寺)앞 공터에 걸려 있는 현수막 문구이다. 광활한 들판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8 19:07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복수의 화신 고영근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복수의 화신 고영근 ● 고영근의 복수극 민씨 집안의 심부름꾼 출신으로 궁을 드나들며 명성황후의 총애를 받아 종2품인 경상좌도병마절도사까지 올랐던 고영근. 폭탄 테러 사건에 연루돼 일본으로 망명한 고영근은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핵심 인물인 우범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4 19:21

전쟁의 숨은 주역, 체탐인(體探人)

전쟁의 숨은 주역, 체탐인(體探人)전쟁의 기본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손자병법』의 첫 장인 「시계(始計)」에 나오듯 ‘상대를 속이고, 나는 속지 않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꼭 필요한 건 ‘정보’다. 상대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알아야 하고, 반대로 상대방에게는 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3 10:44

원초적 생명과 부활에 대한 염원

원초적 생명과 부활에 대한 염원신라 금관의 미학 순도 90%에 육박하는 찬란한 황금빛,세련되고 독특한 조형미…. 1500여 년 전 경주의 대형 무덤에서 나온 화려한 신라 금관. 이집트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가 그렇듯, 신라 금관은 보는 이를 신비로움과 무한 상상으로 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13 10:32

새롭게 생각하고, 새롭게 바라보며 이해하고 받아들여, 발전의 계기로 삼다

새롭게 생각하고, 새롭게 바라보며 이해하고 받아들여, 발전의 계기로 삼다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새로운 생각과 시각을 통해 발전을 이루어 왔다. 동시대를 앞섰던 혁신적인 감각이 첨성대, 금속활자, 측우기, 거북선, 수원화성 등 다양한 유산을 만들어 내는 동력이 됐다. 우리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9 22:43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

문자 사용? 그 흔적을 찾아서!대외교역에 쓰인 고대 한반도의 문구(文具) 한반도에서 살아가던 고대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시각을 어떻게 공유했을까? 완전하진 않지만 그들에게도 의사소통의 수단이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문자’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문자’의 역할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9 22:33

초심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광우 스님 법문초심을 잃지 않고 사는 지혜 우리가 아껴야 할 마음은 초심입니다.훌륭한 인물이 되고, 중요한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는세 가지 마음이 필요하다고 합니다.첫째는 초심,둘째는 열심,셋째는 뒷심입니다.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마음이 초심입니다.그 이유는 초심 속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6 11:23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나누는 것에 있다

원조도안 스님 법문법향 가득한 마음, 행복은 찾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나누는 것에 있다.배움을 위하거든 하루하루 지식을 더해 갈 것이지만 道를 위하거든 하루하루 덜어내야 한다.덜고 덜어서 무위에 이른다. 무위에 이르면서도 하지 않음이 없다. 일반적인 공부, 철학적인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6 11:14

친일승려 이회광의 야욕과 몰락

친일승려 이회광의 야욕과 몰락 덕수궁 선원전, 해인사 포교당 되다 그리 잘 알려진 일은 아니지만 오래 전에 하마터면 팔만대장경 경판이 몽땅 일본으로 옮겨질 뻔한 적이 있었다. 일본에서 대장경을 간행하겠다고 해인사 주지승과 일본인 사토 로쿠세키(佐藤六石)가 공모해서 추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8:24

너나 잘 해라

너나 잘 해라 효봉선사(曉峰禪師)는 일본 와세다대학 법과를 졸업하고 평양 복심법원에서 십년간 판사직을 지내시다가 어느날 갑자기 엿판을 메고 팔도강산을 방랑하기 3년, 1925년 금강산 신계사 석두스님 문하에서 출가하여 불굴의 의지로서 절구통 수좌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1:04

지광응천스님 법문

지광응천스님선근인연(善根因緣)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의 겁(劫)이란? 우주가 태동해서 멸망하기까지의 도저히 헤아릴수 없을만큼 장구한 시간을 의미하며  일겁(一劫)의 시간은 물방울이 떨어져 집 한채만한 바위를 없애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여  힌두교에서는 43억 2천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5 10:41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扶餘 定林寺址 五層石塔)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유네스코세계유산이다.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20:00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

우리 문화의 겉과 속, 상징을 통해 미를 탐하다우리 생활문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도상은 단순히 하나의 상징세계를 갖는 데 그치지 않았다. 저마다 여러 가지 상징체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 안에서 우리 선조들의 삶과 맞물려 일상화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12-04 10:56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