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5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역사의 조각을 찾아서

역사의 조각을 찾아서남원은 광한루, 실상사, 만복사지, 황산대첩비지 등 쉽게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는 지역이다. 그중에서도 ‘만 가지 복을 기원한다’는 뜻을 지닌 만복사(萬福寺)는 다양한 문화재와 이야기가 엉켜 있는, 살아있는 역사의 조각이다. 사적 제349호 남원 만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4:54

바르게 고치고, 새롭게 쓰다

바르게 고치고, 새롭게 쓰다문화재의 복원과 재현은 역사를 되새기는 작업이다. 산업혁명 이전의 세계는 문화재의 보존에 대한 이론과 방법이 전무했다. 무지의 연습을 반복하며 복원 기술과 재현의 정교함이 더해졌다. 어느덧 우리나라도 문화재를 복원하는 데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4:45

국보 제11호 백제 최대 가람, 미륵사지

국보 제11호 백제 최대 가람, 미륵사지백제 최대의 가람인 미륵사 창건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신라 선화공주와 혼인한 후 왕이 된 마동 즉, 무왕(백제 30대왕 600-641)이 선화공주와 함께 용화산(현재의 미륵산) 사자사의 지명법사를 찾아가던 중이었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4 12:47

전통혼례

전통혼례신랑과 신부가 서로 처음 얼굴을 보고 절을 올리는 교배례혼례 중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절을 주고받는 의식을 교배례라고 한다. 혼례 과정 중 처음으로 신랑과 신부가 얼굴을 보는 순간이다. 교배례는 신붓집에 마련되는 초례청에서 진행된다. 초례청에는 신랑과 신부 사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3:11

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

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踏雪野中去)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제불수호란행 (不須胡亂行) 발걸음을 함부로 어지러이 걷지 마라.금일아행적 (今日我行跡) 오늘 내가 걸어간 발자국은수작후인정 (遂作後人程)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이 작품은 김구(金九) 선생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1:33

민요 지역적 특성

민요는 민중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소박한 노래로 겨레의 정서를 대변한다. 역사와 전통이 풍부한 민족일수록 뿌리 깊은 민요의 가락이 많고, 신화나 설화가 가락화된 경우도 있어 민족의 구심점이 되기도 한다. 민요는 지역에 따른 선율의 특성, 즉 토리에 따라 경토리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12 20:06

화성 홍법사

홍법사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위치해 있으며, 1376년(우왕 2)에 한 비구니가 화성군 정남면 탑상골에 창건한 것을 1841년(헌종 7)봉담면으로 이전, 중건하였다. 그 뒤 도둑의 잦은 출몰로 1934년 덕수(德修)가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9 20:18

고종황제를 매혹시킨 커피

고종황제를 매혹시킨 커피개항 이후 들어온 음식과 식재료* 커피의 유래기원전 6~7세기 경 에티오피아에 칼디라는 목동이 있었는데 어느 날 염소가 빨간 열매를 먹더니 진정을 못하고 하루 종일 뛰어다니다가 밤에는 잠도 못자는 것을 보고 기이하게 여겨 직접 빨간 열매를 먹어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8 21:18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조상숭배란 죽은 사람이 아직도 그들이 사는 집단의 성원으로 살아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태도에서 생긴 것이다. 그래서 제사를 마치 조상이 자기 앞에 계시듯 성심을 다하여 올린다. 예로부터 조상을 영접하는 제사는 엄숙하고 까다로운 절차에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7 20:18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太白 鐵岩驛頭 選炭施設) 등록문화재 제21호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太白 鐵岩驛頭 選炭施設) 등록문화재 제21호 강원 태백시 철암동 365-1번지화전민의 땅이었던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은 1930년대 철암역 뒤 우금산 일대에 조선총독부의 탄광 개발에 따라 탄광도시로 완전히 탈바꿈했다. 1935년 선탄시설이 들어섰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7 11:13

화성 실크로드길

화성 실크로드길화성 실크로드길 전구간도제부도, 궁평항, 궁평항 해송숲 거기에 당항성길, 황금해안길, 제부 제비꼬리길, 홍랑길 등 새롭게 조성된 길을 걸으면 뒤였뉘였 땅거미가 아득한 수평선으로 넘어가는 풍광이 처연하고도 곱다. 어느 곳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그래서 생애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6 14:22

근심이 사라지는 이곳 해우소(解憂所)

근심이 사라지는 이곳 해우소(解憂所)절 집에서는 변소를 해우소(解憂所)라 한다. 즉 '걱정과 근심을 해결해주는 곳'이라는 뜻이다. 걱정 중에서 큰 걱정은 대소변의 배설일 진데, 해우소야 말로 기가 막히게 화장실을 잘 표현한 말이다. 해학과 낭만이 있는 이름이 옛 스님들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6 12:57

쓰기 편한 우리글 "한글"

한글 쓰기 편한 우리 글국보 70호 ,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훈민정음해례본 세종은 일찍이 우리의 말이 당시 쓰고 있던 문자인 한문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적 음운 원리에 따른 문자를 만들었다.이렇게 우리글을 만든 가장 큰 목적은 그 원래 이름인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5 20:12

암행어사 暗行御史

암행어사 暗行御史 요즘 TV에 암행어사가 유행이다. 또 지나간 선거에서는 부정, 탈법선거 단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선거판 암행어사인 비공개 선거부정감시단이 활동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상대를 기죽이는 위엄 넘치는 관복 대신 남루한 차림으로 전국을 누비며 백성들과 함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5 14:25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고려의 고승 백운화상(白雲和尙) 경한(景閑)이 저술한 책.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1377년 7월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이는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 보다 약 80년이 앞선다.

문화 유시문 기자 2021-01-04 10:23

  • 26
  • 27
  • 28
  • 29
  • 30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