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문화

문화

경주 감은사와 용

감은사와 龍지난 11월 23일자 호국의 상징 경주 문무대왕릉에 이어 두번째 유적지가 감은사다.  어느 날 동해 바다가 넘쳐서 감은사 뜰 앞까지 밀려왔다가 물러났다고 한다. 경덕왕이 고승 法海에게 법력을 보여 달라고 해서 벌어진 일이었다. 법해는 滄海(창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9 11:15

호국의 상징 경주 문무대왕릉

호국의 상징 경주 문무대왕릉사적 제158호(1967.07.24 지정)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불린다. 봉길리 해변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다.문무대왕은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武烈王)의 업적을 이어받아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하고, 계림도호부를 설치하려는 당나라 군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23 10:17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慶州 芬皇寺 幢竿支柱)’ 보물 지정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慶州 芬皇寺 幢竿支柱)’ 보물 지정- 통일신라 당간지주 중 유일한 귀부형 간대석 보존돼 가치 높아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慶州 九黃洞 幢竿支柱)」를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문

뉴스 유시문 기자 2021-11-23 10:04

신라 건국의 산실 경주 표암

경주 표암 서라벌의 북쪽을 지키는 소금강산은 신라의 4대 영산중의 하나이다. 이 산 남쪽 기슭에 표암이 자리하고 있다. 표암이란 박바위 또는 밝은 바위를 뜻하는 것이다. 기원전 117년 진한 땅 표암봉에 알평이 내려와 세상을 밝게 하였다 해서 표암이라 부르게 되었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2 10:53

신라 탈해이사금

신라 탈해이사금 (경주 탈해이사금)소금강산 남쪽 자락 양지바른 곳에는 탈해왕릉(신라 4대 왕)이 있다. 탈해왕릉은 1969년 8월 27일에 사적 제174호로 지정되었으며, 백률사가 있는 소금강산의 남록 낮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왕릉은 20세기 초에 석씨 일족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20 19:52

이차돈의 성은 박이요.

이차돈의 성은 박이요. 신라에 불교가 뿌리내리기까지는 많은 사연이 있다. 신라에 불교가 들어온 것이 삼국사기에는 눌지왕과 비처왕 때라고 하고 해동고승전에는 법흥왕 때 그리고 수이전에는 미추왕 때라고 한다. 그만큼 불교를 수용하기가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7 12:31

아주 오래된 인류의 습속, 인신공희 - 신라 왕성 ‘월성’에서 다시 발견되다 -

아주 오래된 인류의 습속, 인신공희 - 신라 왕성 ‘월성’에서 다시 발견되다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인신공희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존재한다. 고대 지중해 시기부터 유럽은 물론 아스테카, 잉카 문명 등에서 그 흔적이 발견된다. 가장 좋은 것을 신에게 바치겠다는 생각이 극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6 10:00

정몽주를 기리는 남과 북의 서원 임고서원(臨皐書院) vs 숭양서원(崧陽書院)

정몽주를 기리는 남과 북의 서원 임고서원(臨皐書院) vs 숭양서원(崧陽書院)정몽주, 이성계, 정도전. 이성계와 정도전을 이어준 이가 정몽주였다. 그러나 역사는 그들을 맞서게 만들었다. 물러설 수 없는 싸움 속에서 정몽주는 살해됐다. 아이러니하게도 조선은 건국의 걸림돌이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6 09:44

경주 소금강산

경주 소금강산 서라벌을 감싸고 있는 사방의 산은 동쪽으로는 명활산이 있고 서쪽에는 선도산, 남쪽에는 금오산, 북쪽에는 소금강산이 있다. 소금강산 앞으로는 알천이 좌에서 우로 흐르는 길지로 굴불사와 백률사, 탈해왕릉이 있다. 신라 오악의 하나로 성스러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5 19:54

울주 천전리 각석

울주 천전리 각석 대곡리 암각화에서 대곡천을 따라 북쪽인 상류로 가면 국보 제 147호로 지정된 천전리 각석이 있다. 반구대 지역에 있었던 반고사라는 절터를 조사하던 중 천전리 각석을 발견하였다. 1970년 12월 24일 동국대학교 박물관 불적조사단은 경주를 출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3 19:42

대곡리 반구대 일원2

대곡리 반구대 일원 반구대 암각화는 대곡천의 남쪽 지류에는 대곡리 암각화가 있고 그 북쪽에는 천전리 암각화가 있다. 이 둘을 묶어서 반구대 암각화라고 부른다. 반구대는 울산에서 내륙 쪽으로 깊숙이 들어온 산속이다.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모양을 한 기암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1 21:06

대곡리 반구대 일원1

대곡천 반구대에서 우리나라는 산천이 수려한데다 사계절이 있어서 더욱 아름다움을 더한다. 봄이면 온갖 꽃들이 앞다투어 피느라고 눈이 부실 정도이고 여름이면 온통 초록색으로 마음에 휴식을 가져다준다. 그러자 가을이 되면 울굿불긋한 옷으로 갈아입고 우리들 곁으로 다가온다.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10 11:39

산통 깨다

산통 깨다잘돼가는 일을 중간의 어떤 사람에 의해 그 일을 망쳤을때 그 사람을 나무라며 야단치는 원망 조의 말로 이 말은 점을 보러 간 사람이 점괘가 나쁘게 나오자 산통을 깨뜨려 다음 사람이 점을 볼 수 없는 안타까운 상황을 두고 나온 말로 요즘도 널리 쓰는 말이다.대나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0 06:36

함양 농월정

농월정은 조선중기 함양 안의면 성북마을 출신인 지족당 '박명부(朴明부, 1571~1639), 광해군 때 영창대군 죽음과 인목대비 유배에 대한 부당함을 직간하다 파직되자 고향에 돌아와 은거하며 이곳에 농월정을 짓고 심신을 수련한 곳이라고 한다. 안타깝게도 2003년 방화

문화 유시문 기자 2021-11-10 05:15

금관총 발견 100년

경주 금관총 지금으로부터 꼭 100년전 금관총의 금관이 세상에 드러났다. 1921년 9월 25일 오전 9시무렵, 조선인 아이 서너 명이 모여 열심히 어떤 물건을 찾고 있었는데 파란색 유리구슬 서너 개씩을 손에 들고 있었다. 고분에서 나온 구슬이 아닐까 짐작되어 조사해

문화 정태상 기자 2021-11-08 10:15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