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호 태풍'찬투'북상하고 있어나,광복절에도 폭염은 지속

제7호 태풍'찬투'북상하고 있어나,광복절에도 폭염은 지속


광복절인 오늘도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15일 기상청에 따르면 동풍이 불면서 서쪽지방을 중심으로 낮 기온이 35도 안팎까지 올라 폭염특보가 확대 강화 될 가능성이 높다.

낮 기온은 서울 33도, 청주와 대전 34도, 대구35도, 울산 32도 등이며,주 후반부터 더위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기 불안정으로 충남 서해안과 강원 등 영서, 남부 곳곳에 국지성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으며. 여름철 국지성 소나기는 시간과 장소를 예측하기가 어려우니 외출 시 우산을 준비하는게 좋겠다.

또한, 열대야 기준인 25도를 웃도는 지역이 많아 밤에도 전국 곳곳에서 열대야가 일어나겠다.


제7호 태풍 ‘찬투(CHANTHU)’는 14일 괌 북동쪽 약 870km 해상에서 북동쪽으로 41km/h의 속도로 진행 중이다.

북상중인 제7호 태풍 ‘찬투’(CHANTHU)가 우리나라 부근에서 세를 떨치고 있는 북태평양고기압을 약화시켜 폭염을 식힐 수 있을지 주목된다.

15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7호 태풍인 찬투가 이날 오전 9시를 기준으로 일본 도쿄 북북동쪽으로 이동 중이다. 중심기압은 985hPa(헥토파스칼)로 중중형급이다. 찬투는 내일(16일) 도쿄를 기준으로 북북서쪽으로 이동한 후 일본의 동해안을 통과할 것으로 관측된다.

기상청은 태풍 찬투가 일본 동해쪽으로 북상할 경우 북태평양 영향이 일시적으로 약화돼 폭염을 누그러뜨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로선 태풍 찬투의 진로는 일본 동쪽 해상이 더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태풍이 여러 변수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경로로 지나갈지는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태풍이 일본 동해상으로 북상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 우리나라 폭염은 9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이날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이 완전히 약화되기 전까지는 당분간 35도가 넘는 폭염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16일에도 동풍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폭염특보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무더위로 인해 열사병이 발병할 확률도 높다. 무더위에 장기간 노출되면 체온조절 중추의 기능이 마비돼 중심 체온이 40℃ 이상으로 올라가서 뇌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열사병은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고 고령, 알코올중독, 더운 주거환경 등에 해당하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고열, 땀이 사라짐, 의식변화가 열사병의 3대 징후이며, 중추신경계 이상으로 섬망, 발작, 혼수가 나타날 수 있다. 주변에 열사병을 보이는 환자가 있다면 서늘한 그늘로 옮기고, 옷은 다 벗기며 냉각요법을 시작해야 한다.

신속하게 찬물 혹은 얼음물에 몸을 담가 체온을 낮춰주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한 경우 생리식염수를 경정맥으로 투여한다. 열사병은 응급에 속하는 질환이므로 즉시 의료기관으로 후송하는 것이 원칙이다.

.

편집부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