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4개 코스‘해설사와 함께하는 박물관·미술관 나들이’

서울시, 4개 코스‘해설사와 함께하는 박물관·미술관 나들이’

 

□ 서울시는 세계 박물관의 날(5월 18일)을 맞아 14일(화)부터 19일(일)까지 <2019 서울시 박물관 주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2019 서울시 박물관 주간은 서울에 잘 알려지지 않은 박물관·미술관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시민들이 스스로 박물관·미술관을 찾도록 기획되었다.

○ 주요 행사로는 ‘해설사와 함께하는 박물관·미술관 나들이’, ‘걸어서 찾아가는 박물관·미술관’, ‘스티커 투어’, ‘만관만색, 서울의 박물관·미술관’ 등이 있으며, 주요 박물관을 순환하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 ‘해설사와 함께하는 박물관 미술관 나들이’는 테마별로 4개의 코스를 18일부터 19일까지 10시, 14시 1일 2회(코스별 2시간)로 운영하며, 14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yeyak.seoul.go.kr)을 통해 선착순으로 접수한다.

 

<해설사와 함께하는 박물관·미술관 나들이>

박물관 속 독립운동 (서울역사박물관, 돈의문박물과마을, 경교장)

한옥으로 들어간 박물관 (서울교육박물관, 백인제가옥, 고희동 미술자료관)

근대건축에 들어간 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중명전)

박물관에서 만나는 사람들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우정총국,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시민이 스스로 서울의 명소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박물관·미술관 도보투어 코스를 추천한다.

 

<걸어서 찾아가는 박물관·미술관>

정동 근대역사 길 : 서울역사박물관 → 돈의문박물관마을 → 러시아공사관 → 고종의 길 → 중명전 → 이화박물관 →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서울시립미술과

조선의 양반 동네, 북촌 : 정독도서관 → 백인제가옥 → 북촌한옥마을 → 북촌생활사박물관 → 가회민화박물관

예술가 마을, 서촌 : 수성동계곡 → 윤동주집터 → 박노수미술관 → 사직단 → 국립고궁박물관 → 경북궁

남산의 풍류 : 서울남산타원 → 공연예술박물관 → 장충단공원 → 남산골한옥마을 → 통감부 터

박물관과 만나는 서울역 : 문화역서울284 → 서울로7017 → 남대문교회 → 숭례문 → 약현성당 → 손기정기념관

성곽을 따라 걷는 박물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흥인지문 → 한양도성박물관 → 이음피움봉제역사관 → 백남준기념관

백제, 한성에서 만나다 : 몽촌역사관 → 몽촌토성 → 한성백제박물관 → 올림픽공원

한양도성 북쪽 첫 동네, 성북동 : 최순우 옛집 → 선잠단 → 선잠박물관 → 성북구립박물관 → 만해한용운 심우장

 

□ 박물관주간에 박물관·미술관을 찾는 시민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진행중인 ‘데이비드 호크니’ 전시 입장권 증정 행사를 진행한다.

 

<스티커 투어 참여방법>

○ 스티커 투어 참여기관 중 4개 기관을 방문하여 스티커를 수령하고,

○ 스티커를 붙인 프로그램북을 지참하여 ‘데이비드 호크니’ 입장권 구입 시 1매를 추가로 증정한다,- 참여기관 : 겸재정선미술관, 고희동 미술자료관, 돈의문전시관, 박노수미술관, 백남준기념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성북구립미술관

 

□ 종로와 북촌일대의 주요 박물관을 순환하는 ‘박물관으로 떠나는 버스’는 18일~19일 2일간 10시부터 16시 3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무료운행한다.

○ ‘박물관으로 떠나는 버스’는 매시 정각과 30분에 서울역사박물관(금호아시아나 본관)을 출발하며, 버스에는 해설사가 동승하여 인근 박물관 및 운영노선을 안내한다.

○ 버스는 서울역사박물관을 시작으로 11개 정류장에 정차하며, 정류장 인근에는 27개 다양한 박물관이 위치하여 보다 편하게 다양한 박물관과 미술관을 방문할 수 있다.

 

□ 또, 박물관 주간에는 서울 다양한 박물관·미술관에서 기획전시, 교육, 행사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며,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박물관·미술관 홈페이지(gomuseum.seoul.go.kr)과 서울시 공립박물관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북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 서성만 문화본부장은 “시민들이 서울시 박물관 주간을 맞아 서울의 다양한 박물관을 알고, 느끼고, 체험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편집부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