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에게 좋은 한방 약재
▶ 녹용(鹿茸)
생화학적, 약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녹용에는 대량의 발정호르몬, 칼슘, 교질, 단백질, 마그네슘 등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녹용은 전신강장약으로 건강할 때 복용하면 강장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소아의 경우 성장을 촉진하고 저항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녹용에 함유된 대량의 발정호르몬은 성기능 감퇴에 대하여 흥분장양작용(興奮壯陽作用)있어
남성의 발기부전과 여성의 불감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녹용은 적혈구, 헤모글로빈, 망상적혈구의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어
다산(多産)에 의한 체력소모나 중병 혹은 대수술 후에 회복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며
유산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녹용에는 건뇌안신(健腦安神)의 효능이 있어 대뇌피질의 흥분과 억제가 균형을 잃어 발생하는
수면장애와 기억력감퇴 및 집중력장애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다.
▶ 파극(巴戟)
파극은 발기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
고금을 통하여 발기력 개선과 조루증 치료에 필수적으로 사용된 약제이다.
특별한 금기증이 없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통상적으로 환약의 형태로 사용한다.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부신피질호르몬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도 증명되었다.
▶ 육종용
성기능 감퇴 및 노인성 야간 빈뇨에 효과가 있다.
병후 쇠약에 저항력 증강 및 영양 보급에 이상적이 약제이다.
정자수의 감소와 활동저하를 치료 한다.
장연동 감퇴에 의한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
▶ 보골지(補骨脂)
보골지는 발기부전 및 조루증 치료의 상용 약이다.
여성의 불감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으며,
정자수 증가 및 활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골지는 약성이 조열(燥熱)하므로 구갈(口渴), 설조(舌燥), 인통(咽痛)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위에 대한 자극성이 있으므로 위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두충
두충은 성기능감퇴에 안전하게 사용되는 좋은 약제이다.
발기부전, 조루, 불감증 등에 사용하며,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성기능 장애에 좋은 효과가 있다.
신경쇠약, 빈혈, 어지러움, 불면, 피로권태감, 식욕부진에 증상 따라 사용한다.
두충에는 현저하며 지속적인 강압작용(降壓作用)이 있다.
풍습을 없애는 효과가 있어 디스크 파열, 척추관 협착증, 근육피로, 류마티스 관절염 등 통증성 질환에 널리 사용된다.
특별한 금기증이 없으며 상복 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 음양곽(淫羊藿)
음양곽에는 최음작용(催淫作用)이 있는데, 이러한 작용은 정액분비 촉진 의한 것으로
정낭 충만 후 감각신경을 자극하고 성욕을 간접적으로 흥분시킨다.
남성호르몬양(樣) 작용이 있어 발기부전, 조루, 남성불임증에 사용된다.
또한 만성적인 신경성 질환 혹은 신경쇠약에 의한 성욕감퇴에 효과가 있다.
▶ 토사자
토사자는 발기부전 조루 및 정자수 감소나 운동성 저하에 따른 남성 불임을 치료한다.
노인의 발기부전은 생리기능의 감퇴에 의한 것으로 토사자를 필요한 약물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좋다.
조루증에는 보신고정(補腎固精)제인「토사자환」을 사용하며
‘여기에 보골지, 쇄양, 금앵자를 가미하여 수섭고정(收攝固精)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 산수유(山茱萸)
산수유는 맛이 산(酸)하여 조루증에 대한 수렴효과(收斂效果)가 양호하다.
산수유는 신경쇠약을 치료하여, 불면, 다몽(多夢), 기억력감퇴, 어지러움 등에 사용한다.
소아 야뇨증에 산수유 단미(單味)로도 효과가 있다.
만성질환 및 수술 등으로 체내 저항력이 약해진 경우
산수유에 황기, 백자인, 산약을 가미하여 사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
▶ 사상자(蛇床子)
실험적 연구에서 사상자는 성호르몬양(樣)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성의 자궁허랭(子宮虛冷)으로 인한 불임증에 사용되며,
약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이는 내분비 실조로 인한 불임과 유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상자에는 트리코모나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트리코모나스 질염에 유효하다.
▶ 복분자(覆盆子)
복분자에는 정액을 고삽(固澁)하는 작용이 있다.
유정(遺精)이나 조루증상에 검실, 육계(肉桂), 보골지(補骨脂)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장양고정(壯陽固精)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복분자는 배뇨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
방광무력증, 요실금, 신경성빈뇨, 소아야뇨증 등의 만성적 비뇨기 질환에도 사용된다.
▶ 합개
약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합개에는 남성호르몬양(樣)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합개에는 장양삽정(壯陽澁精)이 작용이 있어
중년기 이후 성기능이 감퇴되고 조루현상이 동반되는 경우에 특히 좋은 효능이 있다.
합개는 귀중한 동물성약제로 약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환제(丸劑)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
▶ 쇄양(鎖陽)
쇄양의 장양보정(壯陽補精)의 효능은 육종용과 유사하다.
장양(壯陽)의 효능으로 발기부전, 조루, 마비성 질환 치료에 유효하며,
보신(補身)의 효능으로 신경쇠약, 각종 허손, 정액부족증을 치료한다.
정자수가 부족하여 생기는 남성불임증에 육종용, 파극, 음양곽, 사상자 등을 가미하여 사용한다.
이들 약물들은 모두 실험적 연구에서 성호르몬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쇄양의 장양(壯陽)작용은 진액(津液)의 생산을 증가시켜 장의 윤활작용을 촉진하여 노인성 변비에도 효능이 있다.
▶ 지모(知母)
신경계의 흥분을 저하시킨다.
특히 황백(黃柏)과 배합되면 성신경(性神經)의 흥분성을 저하시켜 조루증상을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다.
지모의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은 함유된 nicotic acid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 출처 : 한의사 신동규 / 유시문 기자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