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있는 나무묘법연화경 비석


부산 아미동 비석마을에 가면 반드시 가봐야 할 곳이 이곳 대한불교 대성종 사찰인 대성사다.               

부산 서구에 있는 대성사는 북에서 남으로 뻗은 구덕산, 시약산, 아미산 연봉의 일부가 남으로 이어져 천마산. 장군산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산령을 경계로 하여 사하구와 접하고 보수천을 경계로 중구와 접하고 있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고장, 역사의 숨결이 흐르고 문화예술이 살아있는 전형적인 지세를 갖추고 있는 이곳 아미동에 대성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곳 사찰에 일본인 영령을 모시는  "나무묘법연화경"이 새겨진 비석이 있다.

일명 법화경비가 그것이다. 높이 120cm.지름40cm의 대리석으로 만든 원기둥형태의 100년된 비석이다.

탑신에는 나무묘법연화경이 새겨져있다.
南無妙法蓮華經(남무묘법연화경) /本山院妙田太福日功居士(본산원묘전태복일공거사)
事寂院妙光日常大姉(사적원묘광일상대자)/大正八秊七月三十日山田七太(郞)(대정8년7월30일 산전칠태(랑)
비석 뒷면에 새겨져 있는 글씨는 손으로 짚어가며 확인 하였으나 위에 적은 것이 맞으리라고 생각한다.

산전칠태까지만 새겨져 있는데 아래에 랑(郞)자가 빠진 것아닌가 생각이 되어 추가했다.

비석에 새겨진 글을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보았다.
南無妙法蓮華經(なむみょうほうれんげきょう, 남묘호렌게쿄, 신도가 법화경에 귀의하는 뜻으로 외는 말) 1919년(대정8) 7월 30일 산전칠태(랑)이 부모로 생각되는 본산원묘전태복일공거사와 사적원묘광일상대자를 합장하고 세운 비로 추정된다. <인용> 

    

절의 일주문에서 경내로 들어와 왼쪽을 보면 오석에 글자를 새긴 높이 2.42M의 대성사 창건공덕비가 있다.

 


또 그옆에는 5층석탑처럼 생긴 탑이 하나 서 있다. 당시 묘지 주위에 흩어져 있던 돌들을 주워 모아서 탑을 만들었다고 주지스님이신 무애스님 말씀하셨다.  

앞에는 용두산 공원이 있으며 오륙도와 영도대교가 보이는 곳이다. 대성사는 부산광역시 서구 옥천로 141-22(아미동2가)에 자리잡고 있다. 공덕비와 5층탑을 지나면 왼쪽에 해수관세음보살님과 용왕대신을 모셔놓은 야외 용왕당이 있다. 지장전과 대웅전을 지나 종무소를 거쳐 절의 북쪽편 상단으로 올라가면 산신각과 독성각이 있다. 산신각을 내려와 오른쪽 언덕으로 내려가면 1천불을 모신 경사지 야외법당이 전개되고, 그 가운데 높이가 7미터나 되는 우뚝 선 미륵대불이 하얀 옷을 입으시고 2중의 네모 관을 쓴 채 근엄하게 서 계신다.


대성사에도 묘지석의 흔적이 고스란이 남아있었다.

 

글 사진 : 유시문 기자

<저작권자 ⓒ 한국역사문화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시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