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1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획

기획

국보 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국보 제2호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 원각사는 지금의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던 절로,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웠다.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1504년 연산군이 이 절을 ‘연방원(聯芳院)’이라는 이름의

문화 유시문 기자 2020-09-08 10:46

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

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서로 배려하고 존중했던 조선시대 부부간의 예의 우리 선조들은 부부간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기록들을 살펴보면 한반도의 부부관은 대체로 남녀의 조화를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나 『고려도경』의 내용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9-07 21:07

국보순례1 - 대한민국 국보는 법령에 의해 국가적인 보물로 지정된 최상급 유물이다

대한민국 국보는 법령에 의해 국가적인 보물로 지정된 최상급 유물이다.   국보· 보물 등의 국가지정문화재들은건조물(建造物), 전적(典籍),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공예품, 고고자료 등 각 분야의 유형문화재들로써, 역사와 문화를 대변해주는 우리 민족의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23 21:43

사지(寺址), 여백 속 충만한 흔적

사지(寺址), 여백 속 충만한 흔적     ‘빈터’가 주는 울림 마음이 가난하고 메마른 사람은 모든 것을 표면적으로 즐기는 버릇이 있다. 그들은 화려한 전각도 없고 경관이 아름답지도 않은 사지에서 무엇을 보고 즐길 것인가 반문하는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16 18:23

함께쓰는역사 - 일본군‘위안부’ 4

함께쓰는역사 - 일본군‘위안부’ 4 그 여성들은 어디로 갔을까: 김학순 이전의 피해자들   일본군‘위안부’의 역사는 1990년대 초부터 새롭게 쓰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관점, 새로운 언어,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며 세계 평화와 인권 회복을 이끌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14 12:51

바다에서 살고 바다에서 놀다

바다에서 살고 바다에서 놀다     네덜란드 출신의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는 그의 저서 『호모루덴스』(1938)를 통해 인간의 본질이 놀이를 즐기는 것, 즉 유희에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유희는 사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12 20:48

함께쓰는역사 - 일본군‘위안부’ 3

하복향과 카후코(可浮子) 우리가 기억해야 할 필리핀 피해자 이야기   【일본군‘위안부’의 역사는 1990년대 초부터 새롭게 쓰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관점, 새로운 언어,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며 세계 평화와 인권 회복을 이끌어가고 있다. 그 중심에는 ‘위안부’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08 16:19

한국·중국·베트남의 종묘,같은 제도로 다른 길을 걷다

한국·중국·베트남의 종묘,같은 제도로 다른 길을 걷다   돌아가신 어버이를 추모하는 풍습은 전 세계 모든 나라에 있다. 그러나 조상의 신주를 모셔 의례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나라는 한국, 중국, 베트남뿐이다. 중국은 고대 국가로부터 도성을 건설할 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03 23:26

함께쓰는역사 - 일본군‘위안부’ 2

함께쓰는역사 - 일본군‘위안부’   “모든 것은 김학순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김학순, 그 역사적 만남   【일본군'위안부'의 역사는 1990년대 초부터 새롭게 쓰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관점, 새로운 언어,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며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03 13:28

함께 쓰는 역사 - 일본군‘위안부’ 황선순은 어디로 끌려갔을까

  함께 쓰는 역사 - 일본군‘위안부’ 황선순은 어디로 끌려갔을까   【일본군‘위안부’의 역사는 1990년대 초부터 새롭게 쓰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관점, 새로운 언어, 새로운 미래를 지향하며 세계 평화와 인권 회복을 이끌어가고 있다.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6-01 13:59

백제 문화가 꽃피운 교토의 역사유적

백제 문화가 꽃피운 교토의 역사유적   백제 문화가 꽃피운 교토의 역사유적 세계유산에는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유산이 하나로 묶여 1건으로 등재된 연속유산이 많다. 한국의 백제역사유적지구도 연속유산 중 하나다. 이와 비슷하게 일본 교토에도 고대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5-28 23:56

화가의 열정과 장인의 인내로 지켜낸 낙화

화가의 열정과 장인의 인내로 지켜낸 낙화   화가의 열정과 장인의 인내로 지켜낸 낙화 국가무형문화재 제136호 낙화장 보유자 김영조 인두 몇 개가 걸려 있는 작업대 옆 숯불 화로에는 벌겋게 달궈진 인두가 꽂혀 있고, 작은 탁자 위에는 새끼로 꼬아 만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5-28 23:43

북을 울려 나의 목소리를 전하오

북을 울려 나의 목소리를 전하오   북을 울려 ~ 나의 목소리를 전하오,  변화와 개혁을 만든 민의의 역사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백성의 정치 참여는 극히 제한되었다. 소수의 지배계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5-20 01:16

주거 건축의 시작과 끝, 한국 부엌 연대기

주거 건축의 시작과 끝, 한국 부엌 연대기     주거 건축의 시작과 끝, 한국 부엌 연대기 선사시대 화덕자리부터 현대 스마트키친까지 부엌은 집을 구성하는 여러 공간 중에서 가장 먼저 생겨났다. 인류 생존에 필수인 물과 불을 이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4-27 08:13

충무공의 명량대첩이 일어난 바다에서 찾은 해전의 흔적

명량대첩이 일어난 바다에서 찾은 해전의 흔적   명량대첩이 일어난 바다에서 찾은 해전의 흔적 이순신 장군은 세계 해전사에서 손꼽히는 명장 중 한 명으로 그가 만든 불멸의 기록은 신화로 남아 있다. 크고 작은 해전에서 단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었고,

기획 유시문 기자 2020-04-24 13:21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