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5월 09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컬럼

컬럼

국제창가학회 실상은 이렇다-1 국내 유포과정

국제창가학회 실상은 이렇다-1국내 유포과정회장 교시가 소의경전`왜색불교 밀물 우려' 기사가 나가자 교계내외에서는 국제창가학회(SokaGakkai International·SGI)의 정체를 정확히 폭로, 그 폐해를 막아야 한다는 전화가 본사로 빗발쳤다.국제창가학회의 국내 유포 부당성을 지적한 한 독자는 “일제의 군위안부문제도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왜색불교의 망동은 역사적 치욕”이라며 “국제창가학회의 실체를 모르고 그들에게 상을 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에게 경종을 울려야한다”고 지적했다.이에

컬럼 유시문 기자 2016-11-08 21:59

국제 창가학회 실상은 이렇다-2, 창가학회의 교리와 문제점

국제 창가학회 실상은 이렇다-2, 창가학회의 교리와 문제점'석가의 법은 죽은 법'이라고 호도일련정종과 창가학회는 모두 하나의 교리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종교단체들이다.이들 단체에 대한 성격을 한마디로 규정하면 바로 불교와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화경》을 도용해 근세에 만들어진 신흥 종교단체다. 국제창가학회와 일련정종의 교리는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부처님을 부정하고,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의 일본어 발음)'를 봉창(奉唱)하지 않는 이외의 종파를방법(謗法)이라 하여 타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컬럼 유시문 기자 2016-11-08 21:56

국제창가학회의 실상은 이렇다 3, 창가학회의 친북행위 (2 )

국제창가학회 실상은 이렇다395년 인구통계조사에서 전체 국민 가운데 불교신자는 약 1천만명. 만약창가학회 신도들이 자신의 종교를 불교라고 표기했을 경우, 전체 불자의10%가 창가학회 신도라는 결론이다. 즉 불자 10명 가운데 1명이 창가학회신도인 셈이다.창가학회에 대한 실체를 폭로하는 기사가 나가자 창가학회측으로부터 여러통의 항의전화가 왔다.전화 내용을 요약해보면 “왜 창가학회가 왜색불교냐, 왜 국수주의(國粹主義:자기나라의 전통적 특수성만을 우수한것으로 믿는 배타적이고 보수적인 주의) 종교냐” 는

컬럼 유시문 기자 2016-11-08 21:50

창가학회의 친북행위 (1 )

일본 불교 앞세워 문화침투 전위역할최근 일본의 신흥종교단체인 세계창가학회 한국지부인 한국불교회가 항일독립유공자 묘역인근에 포교원을 건립하다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공사를 중단하는 등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문제가 되고 있는 창가학회 한국지부 포교원은 김구, 이봉창, 이동녕, 윤봉길선생등 항일 독립운동가 7명의 묘역이 있는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과 불과 2백여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한편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일본 신흥종교교단인 입정교성회한국지부는 지난 86년부터 최근까지 24억여원의

컬럼 유시문 기자 2016-11-08 21:36

청년수당 강행한 박원순, 속 보이는 대선행보 그만두라

청년수당 강행한 박원순, 속 보이는 대선행보 그만두라서울시가 어제 청년활동지원비 50만 원씩을 현금으로 2831명에게 지급했다. 취업 의지가 있는 저소득층 청년에게 6개월까지 월 50만 원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보건복지부는 즉시 중지 명령을 내렸다. 지방자치단체는 복지사업을 신설할 경우 복지부와 협의해야 하고 복지부가 동의하지 않으면 조정 절차를 밟도록 사회보장기본법에 명시돼 있다. 서울시는 조정 절차도 거치지 않았다. 서울시는 복지부의 시정 명령을 무시하고 복지부가 직권 취소하면 대법원에 소송을

컬럼 유시문 기자 2016-08-04 12:51

조선 오백년 역사에서 최고의 외교

조선 오백년 역사에서 최고의 외교로 평가받는 도꾸가와 이에야쓰와 사명대사의 정상회담 이야기사명대사와 도꾸가와의 진영이다.임진왜란 당시 백성을 구하고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궐기한 4대 호국사찰이 있다.묘향산 보현사의 서산대사.금강산 건봉사의 사명대사.계룡산 갑사의 영규대

컬럼 유시문 기자 2016-06-08 08:14

  • 6

최신기사

2024-04-26 09:02
뉴스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9주년 기념행사 개최(4.28)

2024-04-26 08:59
뉴스

왕실 연회 공간 ‘경회루’에서 만나는 경복궁의 경치

2024-04-26 08:54
뉴스

어린이날, 국가유산과 함께 하면 즐거움이 두 배!

2024-04-23 18:48
뉴스

‘인원왕후 묘현례’ 재현극 보고, 조선 왕실 여성문화 체험

2024-04-23 18:45
뉴스

경복궁 야간관람에서 인생사진 남기자!

인기기사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