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UPDATA : 2025년 07월 20일
  • 전체기사
  • 공지
  • 뉴스
  • 문화
  • 건강생활
  • 여행
  • 사진이야기
  • 동영상
  • 기획
  • 컬럼
  • HOME
  • 기사검색

'유시문'기자의 전체기사

거제포로수용소

거제포로수용소지금 초등중학교에서는 6.25전쟁(한국전쟁)이 왜 반발되었는지 정확하게 모르고 있다. 학교에서 가르켜 주지 않고있다. 특히나 지금처럼 친북성향의 정부에서는 더욱 더 그렇다. 우리민족의 아픔, 6.25 전쟁은 잊어서는 안 되며 다시 일어나서도 안 될 우리의

사진이야기 유시문 기자 2019-01-13 17:12

깊이 자각하고 반성 해야 하는 것이 진정 국민의 몫만은 아닐것이다.

1975년 일본 월간지 문예춘추(文藝春秋)에 한 편의 논문이 실렸다. '일본의 자살(自殺)'이란 의미심장한 제목 아래 일군(一群)의 지식인 그룹이 공동 집필한 문건이었다. 필자들은 동서고금 제(諸) 문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국가가 외적(外敵) 아닌 내부 요인

컬럼 유시문 기자 2019-01-13 12:13

‘박근혜를 쫓아내고 문재인을 세운 것은 한국인의 불행’

무토마사도시(武藤正敏)  전 주한 일본대사          ‘박근혜를 쫓아내고 문재인을  세운 것은 한국인의 불행’ 2010~2012년 사이 주한일본대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13 11:49

평택호의 혜초기념비

평택호를 굽이돌아 마안산 입구 모래톱공원에 평택시가 2009년5월에 세운 혜초기념비가 서있다. 혜초는 신라 성덕왕때의 고승이며, 700년 전후로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사망은 중국 오대산 건원보리사에서 787년에 입적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서라벌(경주)에서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11 12:27

평택의 대동법시행기념비

평택 소사동에는 수백년의 세월을 지켜온 특별한 비석이 있다.바로 대동법시행기념비다.한양에서 경기도, 충청도를 거쳐 전라도로 내려가는 삼남의 길목 이곳 평택 소사동에 자리하고 있다. 십년세월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는데 벌써 수백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과는 많은 다름이 있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10 23:21

어제 1월8일의 KBS방송의 200억 경북궁 부실시공

1월 8일 KBS의 「‘200억 경복궁 복원에 시멘트...주먹구구 ’부실 시공‘」 보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 ‘경복궁 흥복전 권역 복원’ 미장공사에 백시멘트를 사용한 부분은 즉시 철거하고 전통재료를 사용하여 재시공하였습니다.ㅇ 문화재 복원과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09 23:39

금관가야 중심권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 출토

 금관가야 왕궁지 추정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발견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삼기)에서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왕궁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家形土器)와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1-09 23:23

경주 한국대중음악박물관을 가보다

박물관이 많은 경북 경주에 정부공인1종 한국대중음악박물관이 생겼다. 이전엔 1945년 설립된 국립경주박물관이 유일했다. 한국대중음악박물관은 역사와 문화의 도시 경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총 4개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은 음악감상실에서 전설의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09 22:54

원불교와 진각종의 교세 성장요인 분석

원불교와 진각종의 교세 성장요인 분석1.들어가는 말우리 나라의 근현대사가 격동의 시기였던 만큼 종교사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수많은 신흥종교가 부침을 거듭하였다. 20세기 초 우리 나라의 종교 지형에 큰 영향을 끼친 천도교와 대종교는 정치적·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걸은 반면, 불교의 한 지파(支派)인 원불교와 진각종은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었다. 최근의 한 여론조사를 보면, 원불교는 개교 80여 년 만에 교도 130만명을 확보하여 우리 나라에서 불교, 개신교, 천주교에 이어 제4의

컬럼 유시문 기자 2019-01-08 23:07

불교를 통해 사회와 국가를 구원하려고 한 일련(日連)

불교를 통해 사회와 국가를 구원하려고 한 일련(日連)                                                                      일련 일련은 법화경을 기반으로 한 법화불교를 주창한 일련정종의 창시자로, 오늘날까지 일본 종

기획 유시문 기자 2019-01-08 22:23

오늘의 우리 불교와 일본불교는 많은 측면에서 차이가 난다

오늘의 우리 불교와 일본불교는 많은 측면에서 차이가 난다. 그 결정적인 분기점이 된 것은 가마쿠라 시대(지금 도쿄의 서남부에 있는 해안지역 가마쿠라(鎌倉)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 賴朝)가 군사적 지배기구인 막부를 세웠던 1192년부터 호조 다카토키(北條高時)가 멸망하

컬럼 유시문 기자 2019-01-07 20:19

의성을 대표하는 천년고찰 고운사(孤雲寺)

의성을 대표하는 천년고찰 고운사(孤雲寺)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騰雲山)에 있는 고운사(孤雲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의 4개 시·군의 60여개의 말사를 관장하고 있는데, 이 중에는 명찰로 유명한 영주 부석사, 안동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1-07 19:29

고대왕국 조문국의 유적 국보제77호 의성 탑리오층석탑

고대왕국 조문국의 유적 국보제77호 의성 탑리오층석탑   분황사모전석탑(국보제30호) 다음으로 유명한 탑이 의성군 금성면 탑리에  있다. 탑이 있는 마을이라고 마을이름이 탑리다.의성탑리오층석탑은 1962년 12월20일에 국보로 지정된 통일신라 초기의 돌을 벽돌모양으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1-06 17:40

고대왕국 조문국을 다녀오다.

경상북도 의성군 지역에 있었던 삼한 시대 초기 국가   의성 지역에는 조문국이라고 하는 삼한 시대 초기 국가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고려 시대 의성부(義城府)였던 문소군(聞韶郡)은 원래 조문국이었다고 기록된 이래 『고려사(高

문화 유시문 기자 2019-01-06 15:43

3m마다 깃대, 365일 태극기 휘날리는 섬마을

3m마다 깃대, 365일 태극기 휘날리는 섬마을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

뉴스 유시문 기자 2019-01-05 05:31

  • 146
  • 147
  • 148
  • 149
  • 150

최신기사

2025-07-18 15:41
뉴스

봉은사 생전예수재 국가무형유산 신규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

2025-07-18 15:34
뉴스

서천읍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예고

2025-07-11 14:32
문화

의성 ‘못’ 농업유산에 담긴 물관리 전통지식

2025-07-11 14:27
뉴스

마을의 숨겨진 자연유산을 찾습니다!

2025-07-11 14:20
뉴스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8.11.) 참가자 모집

인기기사

  • 1

    함께하는 동행 덕수궁 석조전 음악회 개최(6.25.)

  • 2

    세계유산 등재 10주년 맞은 공주·부여·익산에 ‘백제 문화공연’ 활짝

  • 3

    50년 미만의 문화자원, 예비문화유산을 찾습니다

  • 4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2호분 주인은 15세에 죽은 삼근왕(개로왕 손자)

  • 5

    고대 문명 발상지 ‘그리스’에서 펼쳐지는 K-무형유산페스티벌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후원기부계좌 : 농협 312 0134 1944 11 한국역사문화신문 유시문

제호 : 한국역사문화신문 | 등록번호 경기,아52325 ㅣ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수문개길 81-31
Tel 01050382783 Fax : (0504)432-2783 | 등록일 : 2015.09.03 | 발행일 : 2015.09.25
사업자 등록번호 : 272-44-00797| 발행인 : 유시문 | 편집인 : 유시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시문

한국역사문화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4 ns-times. All rights reserved.